부산역 광장, 영도구 숨어든 사람 모두 합쳐 5,000여 명 남짓경찰 차벽 앞 영도 구민들 “수해복구나 돕지 여긴 왜 왔노” 호통
  • ▲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30일 오후 전국에서 모인 '3차 희망버스' 참가자들이 부산역 광장에 모여 문화제를 가진 뒤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이 고공 농성을 벌이고 있는 한진중공업으로 가는 길인 영도다리 입구에 영도구민들이 희망버스를 반대하는 내용의 플래카드를 내걸고 있다ⓒ
    ▲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30일 오후 전국에서 모인 '3차 희망버스' 참가자들이 부산역 광장에 모여 문화제를 가진 뒤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이 고공 농성을 벌이고 있는 한진중공업으로 가는 길인 영도다리 입구에 영도구민들이 희망버스를 반대하는 내용의 플래카드를 내걸고 있다ⓒ

    [부산=전경웅기자]‘버스 1,850대, 시위대 10만 명’이라고 호기롭게 외쳤던 ‘3차 희망버스’에 모인 시위대 숫자는 모두 합쳐 5,000여 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정오 서울시청 광장 앞 등 전국 70여 곳에서 출발했다는 ‘3차 희망버스 시위대’는 이날 오후 6시 30분 부산역 광장에 모이기 시작했다. 오후 8시 경 인원은 4,000명으로 늘었다. 이들은 오후 10시 현재 부산역 광장에서 계속 집회를 열고 있다. 오후 11시 경 집회를 마친 뒤 부산대교 방면으로 진출해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희망버스’측이 당초 계획했던 게릴라 시위도 열리지 못했다. 당초 알려지기로는 부산 서면, 시청 앞, 해운대 해수욕장, 광안리 해수욕장, 남포동 PIFF 광장에서 게릴라 시위를 연 뒤 부산역 광장에 집결한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남포동 PIFF 광장에서 300여 명이 시위를 벌인 게 전부였다.

    ‘희망버스 시위대’는 결국 ‘비정규전’을 선택했다. 개별적으로 KTX 등을 타고 부산을 찾은 뒤 한두 명 씩 걸어서 혹은 버스를 타고 들어가 영도구 청학동 일대에 숨어들어 있다 오후 8시 30분 되자 한진중공업 맞은 편 봉학초등학교 옆 골목에 모여 ‘자칭 종교행사’를 갖기 시작했다. 70여 명으로 시작한 ‘종교행사’에 곧 시위대가 몰려들기 시작했다. 오후 10시까지 모인 시위대의 수는 1,000여 명. 그 이상은 늘지 않았다.

  • ▲ 30일 오후 9시 부산역광장에 집결한 '3차 희망버스' 시위대 전체의 모습. '2차 희망버스 시위' 때보다도 훨씬 적은 숫자였다.
    ▲ 30일 오후 9시 부산역광장에 집결한 '3차 희망버스' 시위대 전체의 모습. '2차 희망버스 시위' 때보다도 훨씬 적은 숫자였다.

    이들의 ‘종교행사’조차 벼르던 영도 구민들이 나서 중단시켰다. 그들을 지켜보던 주민들은 ‘뭔 종교행사를 그리 오래 하느냐’며 거세게 항의하기 시작했다. 주민들 기세에 눌린 시위대는 청학동 방면 대선조선 2공장 방향으로 피하기 시작했다.

    한편 ‘3차 희망버스’ 출발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어버이연합, 한국대학생포럼 등 애국진영 시위대는 부산에 도착한 뒤 1,000여 명으로 숫자가 크게 늘었다. 이들은 오후 10시 현재 부산대교 방면에서 ‘희망버스 시위대’를 기다리고 있다.

    영도 구민들 분위기도 살벌하다. 경찰차벽이 쳐진 곳곳마다 지역 주민들이 나와 시위대를 지켜보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시위대로 보이는 사람들이 차벽 쪽으로 다가가자 “뭐한다고 여기 왔는데? 수해복구나 도우러 가라!”며 호통을 쳤다. 시위대는 이런 주민들의 호통에 아무런 대응도 못하고 눈길을 피하기 급급했다.

    경찰 또한 2차 희망버스 시위 때보다 더 단단히 대비하고 있다. 현재 한진중공업과 부산 영도 주변을 지키고 있는 경찰 병력은 89개 중대 1만여 명으로 지난번보다 3,000여 명 이상 늘었다. 경찰은 이번에는 영도 내부로 시위대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부산대교와 영도대교에서부터 시위대의 진입을 막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