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예방 및 신속 복구 강화
  • 국지성 집중호우에 따른 인명과 재산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한국가스안전공사 박환규 사장은 ‘24시간 비상대비 태세’에 돌입해 가스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5년간 발생한 가스 사고를 분석해보면 전체의 17.8%가 장마철에 발생했다. 사고 원인별로는 사용자 부주의, 시설미비 및 공급자부주의 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가스안전공사는 집중호우 시 도시가스는 계량기 옆의 메인밸브까지, 액화석유가스(LPG)는 용기밸브까지 잠그고 체인을 이용해 안전한 곳에 고정시켜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가스보일러를 가동할 때는 배기통에 물이 스며들거나 배기통이 보일러 몸체에서 이탈해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

    가스안전공사는 침수지역에서 가스시설을 복구할 경우 도시가스와 LP가스 모두 전문가에게 의뢰, 안전점검을 받은 뒤 사용해야한다고 설명했다. 가스레인지와 가스보일러 등 가스용품의 경우에는 진흙 등 이물질을 물로 제거하고 완전히 말린 뒤 안전점검을 받고 사용해줄 것을 주문했다.

    또 국민 누구나 가스시설에 대한 위해요소 발견 시 전국 어디서나 119 또는 1544-4500으로 전화하면 된다.

    가스안전공사는 연락을 받는 즉시 가까이 위치한 공사 지역본부나 지사의 전문 엔지니어들이 긴급출동, 위해요소를 제거하고 소비자들의 안전한 가스사용을 돕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