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검 중수부(이인규 검사장)는 노무현 전 대통령 측이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와 관련해 노 전 대통령을 소환조사하기에 앞서 22일 서면질의서를 먼저 발송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참여정부의 전 청와대 비서실장 문재인 변호사와 협의해 질의서를 이메일로 발송했으며 문 변호사는 마침 봉하마을을 방문했던 터라 이메일을 출력해 노 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원본은 수사관이 문 변호사의 사무실로 전달했다.

    홍만표 대검 수사기획관은 "조사시간을 단축하고 전 대통령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직접 조사 전에 쟁점사항을 정리해서 서면조사를 먼저 하기로 했다"며 "가급적 주말까지 답변을 받은 뒤 내용을 검토해 소환 일정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A4용지 7장의 서면질의서에는 박 회장에게서 노 전 대통령 주변에 건네진 100만 달러와 500만 달러, 정상문 전 대통령 총무비서관이 빼돌린 대통령 특수활동비 12억5천만원 등에 대한 기본적인 사실관계와 그동안 언론에 알려진 쟁점 등을 두루 질문항목으로 담고 있다.  다만, 결정적인 내용은 소환조사 때 직접 묻기 위해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 기획관은 "소환조사 전 단계로 서면질의서를 발송한 것이고 질문할 분량이 많다. 질문 방식은 수사에 필요한 방식대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문 변호사는 "성의껏 답변서를 쓰겠다"며 "검찰 소환에 대해 협의가 오면 그 부분은 (언론에) 숨기지 않겠다"고 언급, 공개적으로 소환에 응할 뜻임을 밝혔다.

    검찰은 정치일정과 관련 없이 노 전 대통령의 답변 내용을 검토하고 정 전 비서관에 대한 조사를 마친 뒤 소환일정을 확정하겠다고 밝혔으나 4.29 재보선 이후인 다음주 후반 한 차례 소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검찰은 전날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등 혐의로 구속한 정 전 비서관을 이날 오후 불러 노 전 대통령 측에 건너간 600만 달러와 횡령금 12억5000만원의 성격 등을 집중 조사했다. 검찰은 정 전 비서관이 2007년 6월29일 박 회장으로부터 100만 달러를 받아 대통령 관저로 전달한 정확한 경위와 작년 2월 박 회장이 노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 연철호씨에게 500만 달러를 송금하는 과정에 관여한 정도 등을 캐물었다. 특히 검찰은 600만 달러가 모두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포괄적 뇌물'이라고 보고 이를 뒷받침할 정 전 비서관의 진술을 받아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검찰은 정 전 비서관이 전결권을 쥐고 대통령 지시에 따라 한 해 110억원의 특수활동비를 꺼내 썼고 지출 내역을 대통령한테 보고해야 하는 점에 주목, 노 전 대통령이 비자금 조성 과정에 묵시ㆍ명시적으로 관여했을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정 전 비서관은 그러나 12억5000만원에 대해 "노 전 대통령이 퇴임한 뒤 주려고 만든 돈인데 노 전 대통령은 몰랐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검찰은 2006년 미국에 체류하던 노 전 대통령의 딸 정연씨 부부가 외화를 송금받은 내역도 살펴봤으나 특이점은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