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치는 左, 흩어지는 右, 흐뭇한 靑…원 구성 후 청와대 본격적인 입법 공세에 나설 듯
  • ▲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6·13 지방선거에서 나홀로 압승을 거둔 더불어민주당은 정치권에서 강력한 정치적 중력을 뿜고 있다. 재보궐 선거에서 11석을 추가로 얻은 민주당으로 이른바 '좌파' 정치세력이 결집되는 분위기다. '합당'까지는 아니더라도 상당 수준의 입법 공조가 가능해 보인다. 

    한편 기대했던 것보다도 더 실망스러운 성적표를 거머쥔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소위 '보수 야당'은 세력결집은 커녕 당내 분열도 수습하지 못하고 있다. 두 당 모두 제대로 된 지도부마저 없는 상황이어서 통합을 논의할 채널조차 열려 있지 않다. 

    이처럼 좌파 정당들은 뭉치는 반면 우파 정당들은 흩어지고 있는 것이 오늘날 국회의 현실이다. 이런 국회를 바라보는 청와대는 내심 기대에 찰 수밖에 없다. 

    ◆ '입법 연대' 구상 본격화하는 與, 화답하는 평화당·정의당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25일 "한반도 평화체제에 협력이 가능하고 개혁입법에 동의할 수 있는 당, 무소속 의원들과 함께 연대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평화와 개혁 연대' 이런 것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당대 당의 통합까지는 아니더라도 하나의 연대체를 구성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 지난 20대 국회 상반기 동안 정의당과 일부 무소속 의원들이 더불어민주당에 보다 협조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야당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여당과 같은 역할을 해온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 민주평화당까지 가세하게 되면 민주당이 최대한 끌어모을 수 있는 의석수는 157석까지 늘어난다. 문재인 정부의 국정 동력을 뒷받침하기 위한 매우 안정적인 규모의 숫자다. 

    실제 민주당의 윤호중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현재 국회에는 진보진영 의석이 모두 157석"이라며 "이는 본회의와 적어도 7개 상임위에서 다수를 만들 수 있는 의석"이라고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기도 했다. 

    평화당과 정의당도 일단은 입법 연대에 우호적인 입장이다. 지난 25일 cpbc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김혜영입니다>에 출연한 평화당 천정배 의원은 "개혁입법을 성공시키기 위해서, 다시 말하면 문재인 정부의 개혁을 국회가 뒷받침하기 위해서, 개혁입법에 뜻을 같이 하는 정당과 의원들이 힘을 한데 모으자. 즉 개혁입법연대를 하자. 이렇게 제안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 역시 "민주당과 '평화와 정의', 일부 무소속 의원들까지 일단 과반이라도 개혁입법연대를 만들어서 국민들의 호응을 받고, 여론상 압박을 해서 국회에서 주요 입법 과제들을 처리해야 한다"며 같은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 보수대통합은 커녕 당내 통합도 못하는 한국당·바른미래당

    한편 보수 정당 사정은 초라하기 짝이 없다. 지방선거 전 거론됐던 이른바 '보수대통합'은 현재로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당대 당의 세력 결집은 물론이고, 각 당의 내부 반목도 제대로 수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당의 경우 김성태 대표 권한대행 체제가 겨우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친박-비박 계파 갈등은 잠복돼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초재선의원 모임의 경우 '김성태 유임'으로 가닥을 잡긴 했지만 적극적인 의미의 지지라기 보다는 어쩔 수 없는 관망이라는 해석이 다수다. 

    현재로서는 김성태 리더십을 대체할 대안이 뚜렷하게 없는 상황이어서 지켜보지만, 언제든 상황에 따라 다시 또 계파 갈등의 뇌관이 터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바른미래당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김관영 신임 원내대표가 선출됨에 따라 간신히 당내 리더십을 새롭게 복원했지만, 여전히 바른정당 계열과 국민의당 계열간의 이견은 뚜렷하다. 게다가 비례대표인 박주현, 이상돈, 장정숙 의원 등은 아예 노골적으로 민주평화당에서 활동하고 있어 당내 분위기는 여전히 어둡다. 

    이처럼 한쪽에서는 여당을 중심으로 세력이 모이는 반면 또 다른 한쪽은 여전히 분열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황은 청와대로서는 내심 흐뭇할 수밖에 없다. 그만큼 하반기 국회에서 입법 드라이브를 걸어볼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야 원내대표간 원 구성 협의가 완료되는 즉시 청와대가 본격적인 입법 공세에 나서면서 소위 '대야(對野) 압박' 노선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