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관과 소명 의식에 대한 진정성 보여 Vs. 소통, 인식의 문제 드러나
  • 박근혜 대통령의 12일 신년 기자회견은 ‘변화보다는 현 기조와 국정 운영시스템을 유지, 보완하면서 경제혁신3개년계획을 통해 30년 성장의 토대를 만들고 자유민주주의 통일의 초석을 다지겠다‘로 정리된다.
    박근혜 정부 집권 1년 차에는 ‘국정원 댓글 사건’, 2년차에는 ‘세월호 참사’란 대형 사건이 정국을 휩쓸었고 장관과 국무총리의 낙마 등으로 인해 집권 초 추동력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 
    최근 불거진 정윤회 문건 파동으로 인해 또 다른 논란이 야기됐지만 검찰 조사로 상황이 정리됐다는 입장이다. 야권은 이에 대해 특검으로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경제 상황이 어렵기 때문에 청와대나 내각의 대대적 개편으로 인한 국정 공백을 막고 미흡한 부분은 보완해 가는 것으로 결심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 국민과 국회와의 소통을 위해 홍보와 정무 라인에 특보단을 꾸려 추진력을 확보하다는 구상도 밝혔다. 경제 살리기를 위해 올-인하는 모습이다.
    이날 기자회견을 두고 야권과 일부 언론에서는 날 선 비판을 하고 있다. 이들은 통일 문제에 대한 전향적 변화 부족, 청와대의 의사결정 시스템이 측근 3인에게 집중돼 있다는 문제의식 부재, 소통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주요 골자다.
    하지만 이런 비판과는 다른 시각을 얘기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가장 돋보인 대목으로 그의 국가관과 소명 의식에 대한 진정성을 꼽았다. 어떤 대통령으로 남고 싶은가란 기자의 질문에 대해 ‘어떤 대통령으로 남는가 보다는 퇴임 후 나라 걱정 안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것이 첫 번째 소망’이라고 말한 대목이 그렇다는 얘기다.  
    그의 인사 방식과 관련해 끊임없이 문제 제기가 있어왔는데, 옳고 그름을 떠나, 그의 인사 철학과 소통에 대한 인식을 가감 없이 잘 드러낸 것도 이번 회견의 성과라 볼 수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비서관 3인방에 대해 ‘의혹 제기만으로 그들을 내친다면 누가 나와 일을 하려하겠는가?’라고 반문하면서 이들에 대한 경질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김기춘 비서실장에 대해서는 한껏 추켜세우면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난 후에 의견을 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환 정무수석의 일명 항명 파문과 관련해 ‘유감스럽지만 항명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소견을 밝혔다. 
    하지만 유진룡 전 문화부 장관 발언 파문과 관련해서는 ‘체육계 비리를 엄단하라고 수차례 지시했지만 보고가 없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자신이 경질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정윤회 문건 관련해서는 ‘그는 오래 전 나를 떠난 사람’이라고 밝혔다. 비선 실세 논란은 실체가 없는 루머란 점을 강조했다. 
    소통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은 ‘나름대로 열심히 하고 있다’고 맞받으며 특보단 신설을 통해 보완하겠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개헌과 관련해 그는 ‘개헌으로 인한 이익보다 경제 살리기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날 기조연설의 70%는 경제 살리기였다. 골든타임을 놓치면 미래 30년이 불투명해진다는 걱정이 고스란히 묻어났다. 일각의 청와대와 내각 개편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판단도 골든타임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근혜 대통령의 말처럼 ‘퇴임 후 나라 걱정 안할 수 있는 대통령’으로 남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