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노조, '이제는 총파업이다' 등 투쟁수위 높여포스코 노조도 사측 최종안 제시에도 파업 수순무리한 요구로 일관, 회사 위기 가중시키면 '공멸'
  • ▲ 기아 광주공장 출입구에 걸려있는 노조의 현수막 모습. 
ⓒ연합뉴스
    ▲ 기아 광주공장 출입구에 걸려있는 노조의 현수막 모습. ⓒ연합뉴스
    “일부 노조를 보면 사측이 수용할 수 없는 조건들을 의도적으로 밀어붙이고 있습니다. 결국 업황이나 회사가 처한 위기는 안중에 없다는 거죠. 자신들의 요구만 관철시키면 된다는 ‘이기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데, 이런 이유로 기업들이 해외에 공장을 만들려고 하는 겁니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부 노조의 행태를 두고 강하게 비판했다. 실제로 기아, 포스코 노조를 보면 위와 같은 부정적인 평가가 나오는 이유를 알 수 있다. 

    우선 완성차 5개사 중 기아만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을 마무리짓지 못하고 있다. 노조가 무리한 요구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에서 ▲기본급 18만49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지난해 영업이익의 30% 성과금 ▲국민연금 수령 전년도까지 정년연장 ▲신규 국내 투자 및 인원 충원 ▲주4일제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최근 소식지에서 ‘인내의 시간은 끝났다’, ‘이제는 총파업이다’, ‘스스로 파국을 선택한 사측’ 등의 표현을 사용해가며 투쟁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런데 사측의 제시안을 살펴보면 교섭 타결을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엿보인다. 

    시측은 3차 제시안 및 추가 제시안을 통해 ▲기본급 11만1000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성과금 400%+1050만원 ▲재래시장상품권 25만원 등을 제안했다. 현대차 노사가 올해 합의한 내용과 비슷한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노조가 무리수를 두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영업이익의 30% 성과금’ 항목만 봐도 알 수 있다. 기아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7조2331억원이며, 임직원수를 감안하면 성과금 규모는 1인당 6000만원이 넘는다. 

    그 외에 정년 연장, 주4일제 도입, 타임오프 철폐, 해고자 원직 복직 등의 사안도 쉽게 수용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 
  • ▲ 포스코 노조가 지난달 6일 쟁대위를 출범시키는 모습. ⓒ연합뉴스
    ▲ 포스코 노조가 지난달 6일 쟁대위를 출범시키는 모습. ⓒ연합뉴스
    오히려 노조가 파업 돌입을 위한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사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들을 일부러 내세우고 있다는 판단이 들 정도다. 

    일각에서는 노조가 조합원들에게 선명성을 내세우고, 향후 집행부 선거에 유리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의도로 보고 있다. 

    창사 첫 파업 위기에 놓인 포스코도 비슷한 상황이다. 포스코 노조는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 “파업을 강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한 상태다. 

    조만간 진행될 쟁의행위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안건이 가결되고, 중노위에서 조정중지 결정이 내려지면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권을 갖게 된다.  

    노조는 올해 교섭에서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목표달성 성과급 200% 신설 ▲조합원 문화행사비 20억원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의 주가가 50만원 수준에서 등락을 보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자사주 100주만 해도 5000만원에 달한다. 여기에 기본급 인상 등을 더하게 되면 사측이 감당해야 할 비용은 1인당 9500만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그렇다고 사측이 교섭 타결을 위해 노력을 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추석 명절을 비롯해 이달 4~5일에도 대화에 나섰다. 

    또한 ▲기본임금 인상 16만2000원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 현금 150만원, 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등의 내용을 담은 최종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노조는 “요구안에 미치지 못한다”고 일축하면서 파업으로 달려가는 모양새다. 

    현재 글로벌 경제 상황을 보면 사측이 노조의 요구들을 다 들어줄 수 없는 형국이다. 당초 국내경제는 ‘상저하고(上低下高)’로 예측됐지만 현재는 ‘상저하저(上低下低)’의 우려가 팽배하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결은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라는 중동 변수도 확산되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면 일부 노조는 갈등을 유발하며 ‘공멸’로 치닫는 게 아니라 ‘상생’의 자세로 변화해야 한다. 현대차를 비롯해 KG모빌리티, 르노자동차코리아, 한국지엠 등의 노사가 대결보다 타협을 선택한 이유를 되새겨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