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과 싱가포르·호주 정상 초청 … 삼성·구글·메타도 참여정상 세션 에 시진핑 불참 … "中, 장관 세션에만 참석""안전하고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AI 위한 합의문 추진"
  • ▲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AI정상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05.20. ⓒ뉴시스
    ▲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AI정상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05.20.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리시 수낙 영국 총리와 공동으로 'AI 서울 정상회의'를 개최한다.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은 20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전하며 "각국 정상들은 안전성, 포용성 등 AI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한 규범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21일 정상세션에서는 안전하고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AI를 위한 합의문 채택이 추진 중이며, 22일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과 공동으로 장관세션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 우리 외교부와 과기부가 공동 주최하는 AI 글로벌 포럼이 같은 날 동시에 개최된다. 

    왕 차장은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지난해 영국에서 개최된 AI 안전성 정상회의와 동일하게 G7(주요7개국) 정상과 싱가포르, 호주 정상이 초청됐다"며 "그 외에 유엔, EU(유럽연합),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 국제기구 수장과 AI 산업 이끄는 핵심 글로벌 기업인 삼성, 네이버 그리고 구글,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 AI도 초청됐다"고 전했다. 

    이어 "작년 영국에서 주최한 정상회의가 AI의 안전성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회의는 안전성 이외에도 포용과 혁신까지 의제를 확대했다"며 "이에 따라 AI가 가진 위험성 측면 이외에도 긍정적 측면, 인류사회에 기여할 혜택의 측면까지 균형 있게 포괄한 논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왕 차장은 "윤 대통령은 특히 2022년 9월 뉴욕 구상, 2023년 6월 파리 이니셔티브, 2023년 9월 디지털 권리장전 등에서 새로운 디지털 AI 규범 정립 방안을 제안하며 혁신과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며 "이런 제안을 국제사회가 받아들여 이번 정상회의 의제로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독자적 초거대 AI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며 "ICT(정보통신기술),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선도국으로 윤 대통령의 AI 서울 정상회의 주최 배경으로 이런 일련의 디지털 AI 구상과 우리 기업의 선도적 디지털 기술력을 국제사회가 인정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여 여부에 대해 "정상회의 세션이 있고, 또한 장관급 세션이 있다"면서 "G7 국가들이 당연히 참석하게 되지만, 정상 세션에는 중국은 참여하지 않는다. 다만 장관 세션에는 중국 측에 우리가 초청장을 보냈고, 중국 측에서 수락을 해서 참석하게 된다"고 말했다.

    박상욱 과학기술수석은 AI 서울 정상회의 의제와 관련 "AI가 가져올 기회에 함께 안전, 혁신, 포용이라는 AI 거버넌스의 3원칙을 국제사회에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수석은 "정상 세션에서는 20개국 이상의 정부, 기업, 학계, 시민사회가 모여 AI 안정성 역량 강화와 지속 가능한 AI 발전 촉진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다룰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를 바탕으로 확보한 디지털 AI 규범의 글로벌 리더십을 통해 우리나라가 AI 선도 국가로서 글로벌 영향력을 높이고, AI G3 국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