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윤석열 대통령, 3월에 일본 급히 달려간 이유 [류근일 칼럼]

반일 몰이는 한미일 이간질 술수···반미·반일·친중·친북 혁명 노려[유라시아 전체주의]냐, [인도·태평양 자유국가 연대]냐국민 선택에 달려···자유 국민, 눈 뜨고 깨달아야

류근일 뉴데일리 논설고문 / 전 조선일보 주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입력 2023-05-08 10:04 수정 2023-05-08 11:15

▲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부인 기시다 유코 여사가 지난 3월 16일 도쿄 긴자 요시자와 식당에서 친교 만찬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과거사가 정리되지 않았다 해서,
한·일의 미래를 열지 못해서는 안 된다”


이게 3월 7일 있었던 윤석열·기시다 후미오 정상회담의 기본 의의(義意)였다. 

‘좌파 집권 5년’은 그와는 정반대였다.
과거사로 인해 미래가 꽉 막힌 기간이었다.
아니, 더 정확하게는,
한·일 협력 또는 한·미·일 협력을
의도적으로·원론적으로 깨버린 기간이었다. 

■ 한일 협력 집요하게 깨려는 이유

왜 깼나?
극좌 NL(민족해방) 운동권이,
[반미·반일·친중·친북 혁명]을 일으키려 한 탓이다.
윤대통령이 3월 급거 일본으로 갔던 이유는,
이 혁명을 저지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 

오늘의 동북아 국제정치도
한반도 정세의 확대판인 듯 전개되고 있다.
중국·러시아·이란 등 [유라시아 전체주의]냐,
아니면,
한·미·일을 비롯한 [인도·태평양 자유국가 연대]냐?

‘좌파 5년’은 전자 편에 섰었다.
반면에 윤석열 시대 한국은,
다시 후자 편에 선 셈이다.
‘돌아온 한국’이었다.

한·일 두 정상은 7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한·일 협력 복원과 발전
△한·미·일 3각 공조
△이를 통한 인도 태평양 자유 연대 발전에
공감했음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북한 핵·미사일에 맞서는
한·미·일 공유가치와 안보협력이 강조되었다.
△공급망 연계
△우주·양자·바이오 등 신기술 협력
△미래세대 교류, △이를 위한 기금 마련
△한국 전문가들의 후쿠시마 현장 시찰
△금융·관광·문화 교류에
의견 일치를 보았다. 

■ 한국 못 미더운 일본기자의 질문

문제는 한국의 국내 정세가,
아직도 자유 진영에 유리하게 안정돼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대통령실만 교체되었을 뿐이다.
국회와 사법부는 여전히 빼앗긴 들판이다.
언론 등 모든 민간 부문도
NL 운동권 수중에,
또는 그 입김 안에 들어가 있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 기자는 윤대통령에게
“지금의 한국 입장이 또 바뀌진 않을는지?”라고 물었다.
한국이 얼마나 못 미더웠으면,
그런 질문을 던졌겠는가? 

■ 엉뚱한 대법관의 돌출 행동

또 언제 대법원 판사 하나가 튀어나와,
영 딴판의 결정을 내려 하루아침에 모든 걸 뒤집어 놓으면?
당장 2024년 총선에서
NL 운동권이 또 다수당이 되면?
이 질문엔 한국 유권자들이 답해야 한다.

지금 사는 게 힘들다고?
그건 전적으로 국민의 자업자득(투표)이다.
누굴 탓하랴?
이젠 정치인들만 탓할 때가 아니다.
매사 우~하고 들고 일어나는
국민/대중/민중 탓이,
최소한 50%다.
아니, 더 될 것이다.

결국,
전선은 우리 안쪽에 있다.
자유 국민은 눈 떠야 한다.
총선이 앞으로 1년도 채 남지 않았다.
알아서 할 일이다.
누구 말 듣나?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