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이 성남시장 재임시절 정부가 추진한 제2판교테크노밸리 사업과 관련해 "시 입장에서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9일 확인됐다.
이 고문은 오는 6월1일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인천 계양을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하며 자신이 판교테크노밸리 사업을 성공시켰다고 주장했지만, 이와는 정반대 행동을 한 것이다.
이 고문은 지난 8일 인천 계양산 야외공연장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판교테크노밸리를 성공시킨 경험으로 100만 평에 이르는 계양지구를 첨단 산업이 중심이 된 테크노밸리로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약속했다.
판교테크노밸리는 기술혁신, 인력양성, 고용창출, 국제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 등 국가의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조성된 경기도의 대표적 혁신 클러스터다. 성남 판교신도시 일대 44개 필지(총면적 45만4964㎡)에 조성됐으며, 총 5조2705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판교테크노밸리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판교테크노밸리는 2004년 12월30일 인가가 났고, 2009년 12월31일 준공했다. 이어 2016년에 44개 컨소시엄 중 43개가 완공됐다. 시행사는 경기도였고, 경기도시공사가 대행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9일 뉴데일리와 통화에서 "공공기관 건물이 들어온 시점인 2015년을 사실상 사업 완료, 완공 시점으로 본다"며 "44개 컨소시엄 모두가 완공된 시점은 2020년"이라고 설명했다.
이 고문은 2018년 7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경기도지사를 지냈다. 판교테크노밸리 사업과 사실상 무관했음에도 자신이 사업을 성공시켰다는 취지로 주장한 것이다.
특히 뉴데일리 취재에 따르면, 이 고문은 2016년 4월25일 성남시장 재직 시절 확대간부회의에서 '제2판교테크노밸리' 조성사업과 관련해 그린벨트 훼손과 과밀화 방지를 위해 판교테크노밸리 확장을 시 입장에서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당시 정부는 판교테크노밸리가 성공적으로 안착하자 확장사업을 계획했는데, 이 고문이 시 차원에서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법인 지방소득세의 절반을 축소하면 재정적 이득이 없기 때문에 기업 유치를 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 고문은 회의가 있던 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언론 보도 기사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리기도 했다.
경기도 행정부지사를 지낸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도 이 고문을 비판하고 나섰다.
박 의원은 9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출마선언문부터 거짓말을 하고 있다. 판교테크노밸리 관련 다음 발언은 '백퍼' 거짓말"이라며 "판교테크노밸리 성공에 이 고문이 관여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판교테크노밸리는 이미 임창열 경기도지사 때 시작돼 2004년에 사업인가가 났고, 내가 경기도 근무하던 2012년에 본격화돼 2014년에 완료된 사업"이라며 "이재명 후보가 경기지사가 된 것은 2018년 7월1일로 이 때는 판교 테크노밸리가 이미 정착을 넘어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각광받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이 후보가 도지사가 된 2018년에는 이미 판교테크노밸리가 완성되어 성공하고 있었는데, 어떻게 '판교테크노밸리를 성공시킨 경험'을 자기 것으로 주장할 수 있다는 말이냐"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