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 무산에 낙담 안해…"신중하고 냉철하게 사태 봤다"
  •  

  •  

    박근혜 대통령이 남북당국회담을 처음 열기로 했을 때부터
    최종 무산됐을 때까지 담담한 입장이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밝혔다.

    이 관계자는 13일 오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굳이 표현하자고 하면 처음부터 (회담이 무산된) 지금까지 [담담]이다”고 말했다.

    취임 후 처음으로 북한과 첫 대화국면을 맞으며
    모처럼 한반도에 화해무드가 펼쳐졌지만
    대통령은 신중한 모습을 유지했다는 의미이다.

    또 지난 수개월 간 핵실험·미사일발사 등으로 안보위기를 조장해온 북한이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로 남북 간 경제교류까지 막는 등
    지금껏 일삼은 도발에 미루어 봤을 때
    남북관계 진전이 한 번에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예상했을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 관계자는
    “박 대통령은 큰일이든, 작은 일이든 항상 신중에 신중을 기한다.
    항상 침착한 모습을 보여 왔고 (감정을) 드러내거나 하지 않는다.
    작은 것도 크게, 큰 것도 크게 관망하며 냉철하게 사태를 본다”고 설명했다.

    남북당국회담이 결렬된 뒤 처음으로
    북한이 조평통을 통해 회담 무산의 책임을 남측으로 돌린 데 대해서는
    “통일부가 설명할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야권에서,
    글로벌 스탠더드를 내세워 격을 강조한 우리 정부의 책임을 질타하는 데 대해서는
    “많은 우리 국민들도 지금껏 남북회담이 이렇게 서로 격이 다르게
    운영돼 왔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별로 많지 않았다”고 했다.

    이는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권시절에
    우리 측보다 한단계 낮은 관직의 인물을 수석대표로 내보내는
    북한의 행동이 관행화된 문제를 우회적으로 꼬집은 셈이다.

    동시에 새 정부의 남북 관계는
    기존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 잡고 격을 맞추는 상호 호혜적인 모습으로 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이다.

    다만 이 관계자는,
    남북 신뢰구축의 전제조건으로 격(格)을 못 박지는 않았으나
    “남북당국회담의 처음 시작이 기본이 아니겠느냐”고 말해
    새 정부의 첫 대북관계 구축에 있어서 중요요소임을 거듭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남북당국회담이 예정됐던 전일에 이어 이날도 공식 일정을 잡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