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대표단, 유엔 인권이사회서 北 서세평 대사 측과 몸싸움..안형환-이은재 격리되기도
  • [제네바=김태민 특파원]

  • ▲ [제네바=김태민 특파원] 12일(현지시간) 오전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이 서세평 주제네바 북한 대사에게 '탈북자 강제 북송 반대' 의사를 피력하고 있다. ⓒ뉴데일리
    ▲ [제네바=김태민 특파원] 12일(현지시간) 오전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이 서세평 주제네바 북한 대사에게 '탈북자 강제 북송 반대' 의사를 피력하고 있다. ⓒ뉴데일리

    “제발 중국에 강제북송 요청하지 마세요!”

    일촉즉발 상황이었다.

    우리 측 국회 대표단과 주제네바 북한 대표부 대사 사이에서 한바탕 몸싸움이 일어나고야 말았다.

    12일(현지시간) 오전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UNHRC) 회의장에서다.

    앞서 마르주끼 다루스만 북한 인권특별보고관은 “최근 북한의 인권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데 의사에 반하는 강제송환 금지 원칙이 준수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탈북자 안전과 보호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것이다,

    이에 대해 서세평 북한 대사는 “특별보고관의 보고는 조작된 정치적 책동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우리 측 대표단이 무엇을 결심한 듯 눈빛을 반짝였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 자유선진당 박선영, 새누리당 안형환, 이은재 의원 4명으로 구성된 국회 대표단은 회의장 뒤쪽에서 서세평 주제네바 북한 대표부 대사가 일어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박 의원은 “당장이라도 찾아가 말을 걸겠다”며 서 대사가 앉아있는 자리로 이동하려고 하기도 했다. 이윽고 서 대사가 일어나 회의장 문 쪽으로 향했다.

    우리 대표단은 “잠시 대화를 하자”며 서 대사를 가로막았다. 하지만 서 대사는 입을 굳게 다문 채 우리 대표단의 시선을 외면했다.

    서 대사가 대화에 응하지 않은 채 회의장을 떠나려하자 국회 대표단은 서 대사를 에워싸고 “탈북자를 탄압하면 안됩니다”, “북송은 절대 안돼요”, “사람들을 잡아들이지 마세요”라고 큰 목소리로 외쳤다.

    그리고 근처에 있던 북한 측 수행원들이 합류하면서 몸싸움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서 대사를 저지하려는 우리 대표단의 목소리는 점차 커져갔다.

    유엔 보안요원들도 따라붙어 우리 대표단을 제지했다. 하지만 의원들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급기야 한 요원은 안형환 의원의 팔을 꺾어 벽 쪽으로 밀었고, 이은재 의원은 북측 수행원이 밀어 넘어지기도 했다.

  • ▲ [제네바=김태민 특파원] 12일(현지시간) 오전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장에서 보안요원들이 새누리당 안형환 의원을 벽에 밀어 붙이고 있다. ⓒ뉴데일리
    ▲ [제네바=김태민 특파원] 12일(현지시간) 오전 스위스 제네바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장에서 보안요원들이 새누리당 안형환 의원을 벽에 밀어 붙이고 있다. ⓒ뉴데일리

    박 의원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는 서 대사를 끝까지 뒤쫓아가 “수용소를 폐지하세요. 강제북송은 안 됩니다. 그런 법이 어디있느냐”고 목청을 높였다.

    서 대사는 유엔경비들의 보호를 받으며 회의장을 서둘러 빠져나갔다.

    안 의원은 인권이사회 회의실 입구에 격리된 상태에서도 오가는 각국 외교관과 민간단체(NGO) 관계자들에게 “탈북자를 살립시다!(Save north korean refugee!)”라고 구호를 외쳤다.

    이 과정에서 안 의원은 왼손목 타박상을 입었고 이 의원은 오른손목에 부상을 입어 급히 치료를 받았다.

    두 의원이 경비의 안내를 받아 유엔 구역 밖으로 퇴장한 뒤 김형오, 박선영 의원은 기자회견을 갖고 “여성 국회의원에 폭력을 행사한 북한 대표단은 사과해야 하며 유엔은 충분한 보호조치를 취하지 못한 것에 유감 표시가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중국이 탈북자의 난민 지위를 하루속히 인정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북한대표단 관계자는 “한국 국회의원들의 행동은 매우 비문명적”이라고 비난했다.

    충돌이 벌어진 이후 국회대표단은 이날 오후 다루스만 특별보고관,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와 차례로 면담하고 탈북자 송환 저지 운동에 대한 관심과 협력을 촉구했다.

    관련기사

    박선영의 제네바 투쟁 24H ① 휠체어 타고서...

    박선영의 제네바 투쟁 24H ⓶ 분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