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위서 공격…국회, 내곡동 현장방문 등10.26 보선 앞두고 '기선제압' 전략인 듯
  • 이명박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 부지로 서울 내곡동 땅을 아들 명의로 구입한 것을 두고 민주당의 공세가 계속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 부지를 본인 명의로 즉각 옮기겠다고 밝혔으나, 민주당 행정안전위원회 의원들은 내곡동 현장방문에 나서는 등 압박에 나섰다. 오는 10.26 보궐선거를 앞두고 여론을 악화시켜 기선을 제압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 ▲ 김황식 국무총리가 11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이명박 댙오령의 토임후 사저부지와 관련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연합뉴스
    ▲ 김황식 국무총리가 11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이명박 댙오령의 토임후 사저부지와 관련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연합뉴스

    이용섭 민주당 대변인은 10일 “아들 시형씨 매입 토지의 경우 공시지가 보다 싼 가격에 매입했고 대통령실은 공시지가보다 약 3배에 가까운 30억원 이상 비싼 가격에 매입했다”고 주장했다.

    이 대변인은 “시형씨가 매입한 토지와 건물의 공시지가는 12억8,697만원인데 실 매입가액은 11억2,000만원으로 공시지가보다 무력 1억6,697만원 싸게 매입했다”며 다운계약서 의혹을 제기했다.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 위반, 취득세 탈루 등에 해당된다는 지적이다.

    반면 “대통령실에서 매입한 9필지의 토지의 경우, 공시지가는 10억 9,385만원이나 실매입가액은 42억8,000만원으로 공시지가보다 31억여원 비싸게 매입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정부질문에 출석한 김황식 총리는 “다운계약서는 실제 계약금액과 서류상 금액이 다른 것이다. 이번 경우는 실거래 내용과 계약금액이 같다”고 해명했다.

    김 총리는 “공시 지가에는 노후된, 허물어야 할 건물의 (가치도) 포함돼 그 부분이 고려되지 않아 (높게 평가되는) 일부 오해가 나온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