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67년 조선호텔 건축시 사라졌다가 40년만에 발견된 환구단 정문이 환구단 인근 서울시민광장으로 이전·복원됐다.

  • ▲ <span style=헐린 뒤 사라졌다가 40년 만에 발견돼 이전 복원된 환구단 정문 ⓒ뉴데일리 " title="▲ 헐린 뒤 사라졌다가 40년 만에 발견돼 이전 복원된 환구단 정문 ⓒ뉴데일리 ">
    헐린 뒤 사라졌다가 40년 만에 발견돼 이전 복원된 환구단 정문 ⓒ뉴데일리

    환구단은 고종이 1897년 대한제국의 자주독립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지금의 서울 중구 소공동에 설치해 하늘에 제사 지내던 곳이다. 환구단은 1913년 일제에 의해 헐려 그 자리에 철도호텔이 세워지면서 원형을 잃기 시작해 1967년 조선호텔이 재건축될 때 황궁우, 석고, 삼문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설이 크게 훼손됐다. 

    그동안 행방을 알 수 없었던 환구단 정문은 2007년 8월 서울 강북구 우이동에서 발견됐었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은 서울시에 정문을 환구단 인근 시민광장으로 이전해 줄 것을 요청했고 서울시는 관련 부서와 협의를 거쳐 지난 3월부터 이전·복원 공사를 본격화해 12월 공사를 완료했다. 이 공사에는 15억600만원이 들었다.

    서울시는 바닥 정비 등 주변 추가 정비 작업은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 마무리할 예정이다. 또 환구단 정문으로서의 기능과 위상을 살려 흩어져 있는 황궁우, 석고단과 아울러 환구단 영역을 재정비하는 작업은 문화재청과 협의하여 추진할 계획. 

    서울시 관게자는 "환구단 정문의 시민광장 이전이 원위치 복원은 아니지만 시청 앞 광장을 찾는 시민에게 문화재와 어우러진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환구단 건립 의미를 되새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