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구 구의동, 서초구 방배동 등 7곳 1000여 가구 지구 지정 해제인허가 받기 전 단계부터 구청과 사업 계획 공유해야공급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더 필요
  • ▲ 서울 은평구 대조동 '호반베르디움 스테이원' 단지 전경.ⓒ단지 임대관리센터
    ▲ 서울 은평구 대조동 '호반베르디움 스테이원' 단지 전경.ⓒ단지 임대관리센터
    지난 17일 다시 찾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용산베르디움프렌즈' 아파트. 이곳은 서울시 최대 규모의 청년안심주택(옛 역세권 청년주택)으로, 낙후한 도시를 젊음의 거리로 바꾼 대표적 사례다.

    당초 코레일 철도 부지와 오래된 주택·건물들이 한데 뒤섞여 매우 낙후한 곳이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젊은 MZ세대들의 핫플레이스인 '용리단길'이 바로 옆에 위치해 있는 데다 주변에 고층 아파트들이 들어서 매우 쾌적한 주거환경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2017년 사업 초기만 해도 인근 아파트·주상복합 주민들의 반대로 몸살을 앓았다. 1000가구가 넘는 대규모 임대주택이 들어서면 교통체증과 임대료·집값 하락 등을 부추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급기야 일부 주민은 '사업 취소'를 요구하며 서울시에 잇따라 민원을 제기하고 나섰다. 사업지와 길 하나를 사이에 둔 아파트 외벽에는 '용산 임대주택 결사반대' '기업형 임대주택 난개발' 등 청년주택에 반대하는 플래카드가 빼곡히 나붙기기도 했다.

    당시를 기억하는 인근의 한 공인중개소 대표는 "오래된 저층 주택가여서 개발 수요는 계속 있었지만 주민들은 대규모 임대주택이 들어오는 것을 반기지 않았다"면서 "특히 학부모들은 임대주택에 사는 아이들과 같은 학교에 보내기 싫었던 이유도 컸다"고 귀띔했다.
  • ▲ 청년안심주택 지구지정 취소사례.ⓒ서울시
    ▲ 청년안심주택 지구지정 취소사례.ⓒ서울시
    이처럼 청년안심주택은 건설 당시만 해도 임대주택이라는 편견 때문에 지역주민들에게 외면받았지만 지금은 달라진 모습이다. 오히려 지역에 필요한 생활 SOC(사회기반시설)를 적극 유치해 지역주민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면서 환영받는 시설로 거듭나고 있다.

    다만 여전히 일부 청년주택은 사업 초기에 무산되기도 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0년 2월 가장 먼저 입주를 시작한 '어바니엘 위드 더 스타일 충정로'를 비롯해 지난해 말까지 47개 단지, 1만5672가구의 청년주택이 공급됐다. 현재까지 허가(사업승인)된 사업지는 139개 단지, 4만6723가구에 달한다.

    반면 △광진구 구의동(95가구) △강서구 공항동(299가구) △중랑구 상봉동(340가구) △도봉구 쌍문동(78가구) △송파구 삼전동(141가구) △중랑구 면목동(80가구) △서초구 방배동(132가구) 등 7개 단지 1165가구는 취소됐다. 전체 허가된 사업지의 2.5%에 불과한 수준이지만 사업시행자의 포기 신청 접수에 따라 지구 지정이 해제된 것이다.

    청년주택사업을 포기한 대부분의 사업장은 임대주택보다 수익성이 더 큰 다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수익성이 더 나빠진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서울시는 사업 초기인 검토 단계부터 지역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자치구 협의 절차'도 거치도록 했다. 사업계획과 관련한 인허가를 받기 전 단계부터 구청과 사업계획을 공유해야 하고 시의회까지 거쳐야 하는 것이다.

    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애초 청년주택사업의 수익성이 크지 않았는데, 임대주택에 대한 편견과 까다로운 절차 때문에 사전 검토 단계에서 포기한 시행사도 많다"며 "청년주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더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