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미·중 4자 모여 함께 종전선언 하자"… 종전선언 주체 구체적으로 밝혀
  •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6차 유엔총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6차 유엔총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을 다시 꺼냈다. 문 대통령은 이를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가 모이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76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종전선언이야말로 한반도에서 화해와 협력의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가 모여 한반도에서의 전쟁이 종료됐음을 함께 선언하길 제안한다"고 밝혔다.

    지난 유엔총회에선 원론적 입장만 밝혀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의 주체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유엔총회에서는 "종전선언은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를 여는 문"이라며 원론적 입장만 꺼내는 것에 그쳤다.

    문 대통령은 또 "한국은 한반도에서부터 항구적이고 완전한 평화가 확고히 뿌리내리도록 전력을 다할 것"이라며 "비핵화와 공동번영의 한반도를 건설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꾸준히 추진해왔고, 국제사회의 지지 속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통한 판문점선언, 9·19 평양공동선언과 군사합의, 북미 정상회담을 통한 싱가포르 선언이란 역사적인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의 시작은 언제나 대화와 협력이다. 나는 남북 간, 북미 간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촉구한다"며 "대화와 협력이 평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 한반도에서 증명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30년전 남북의 유엔 동시가입에 대해선 "유엔 동시 가입으로 남북한은 체제와 이념이 다른 두 개의 나라라는 점을 서로 인정한 것"이라면서도 "결코 분단을 영속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고 짚었다.

    北 미사일 발사에 대해선 침묵

    또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할 때 교류도, 화해도, 통일로 나아가는 길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면서 "남북한과 주변국들이 함께 협력할 때 한반도에 평화를 확고하게 정착시키고 동북아시아 전체의 번영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북한을 향해서는 "북한 역시 '지구공동체 시대'에 맞는 변화를 준비해야만 한다"고 밝히며 "국제사회가 한국과 함께 북한에게 끊임없이 협력의 손길을 내밀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다만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해 한반도에서 긴장감이 고조되는 것에 대한 의견이나 지적은 하지 않았다.

    코로나 회복·기후위기 대응 등 당면과제로 꼽아

    문 대통령은 한편 이날 세계의 당면 과제로 '코로나 위기로부터의 포용적 회복'과 '기후위기 대응'을 꼽았다. 

    코로나 상황과 관련해선 "코백스에 2억 달러를 공여하기로 한 약속을 이행하고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의 한 축을 맡아 코로나 백신의 공평하고 빠른 보급을 위해 힘쓰겠다"고 공언했고, 기후 문제에 관해선 "개발도상국이 기후위기 대응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마친 문 대통령은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열리는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 행사' 등에 참석한 뒤 귀국길에 올라 23일 오후 서울에 도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