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명 좌파집회엔 구급차 10대, 6만명 우파집회엔 3대…시위 규모 알고도 차별 배치"
  • ▲ 본지가 입수한 2017년 3월 10일 당일 서울시 소방당국의 구급차 배치도. '(지역명)E'가 구급차 위치다.
    ▲ 본지가 입수한 2017년 3월 10일 당일 서울시 소방당국의 구급차 배치도. '(지역명)E'가 구급차 위치다.
    “2017년 3월 10일 대규모 집회 당일, 서울시 소방당국의 응급처치가 미미했다”는 대한애국당 주장이 <뉴데일리> 취재 결과 사실로 드러났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4만~6만 명의 군중이 운집했는데, 배치된 앰뷸런스는 고작 3대에 불과했다. 소방당국은 그러나 1만5000명 규모로 예상한 퇴진 행동, 즉 좌파 단체의 집회에는 10대의 앰뷸런스를 배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유가족 대표 이모씨(47)는 지난달 29일 서울시에 ‘2017년 3.10 당일 소방당국의 응급대처 관련 정보공개’를 청구했다. 이씨가 요청한 정보공개 내용은 ▲당일 안국역 주변에 배치된 119 엠뷸런스의 위치 및 수 ▲아버지 고(故) 이모씨(당시 70대)의 응급 신고자 및 관할 소방서 ▲출동 엠뷸런스의 응급일지(응급환자 인계 시간, 이동 소요시간 등) 등이다. 

    서울시는 이에 대한 답변을 지난 7일 이씨에게 이메일로 보냈다. 

    <뉴데일리>가 이씨를 통해 입수한 3.10 당일 서울시 소방당국의 ‘구급활동 내역’에 따르면, 종로소방서는 사건 전날인 2017년 3월 9일 ‘소방공무원 특별경계태세 강화 지시’를 내리고 소방안전 대책을 수립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종로소방서는 당일 ‘탄핵 반대 집회’가 열리는 안국역 사거리 일대에 시위 군중 4만~6만명이 몰릴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퇴진 행동 집회’가 열리는 경복궁-광화문 광장 일대에는 안국역 1/3~1/4에 불과한 1만5000명이 몰릴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소방 당국은 앰뷸런스를 상반되게 배치했다. 처음부터 탄핵 반대 집회에  운집할 시위 군중이 4배가량 더 많을 것으로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좌파 시위인 ‘퇴진 행동’ 집회 장소에 더 많은 엠뷸런스를 투입한 것이다.

    이날 종로소방서가 배치한 소방력은 차량 18대(순찰1‧펌프4‧구급13), 인원 109명(펌프16‧구급39‧순찰2‧현장요원42‧상황실운영10)이었다. 구급차는 총 13대였다. 그러나 탄핵 반대 집회가 열렸던 안국역 사거리 일대에는 3대만 배치됐을 뿐이다. 

    그나마도 시위대 밀집 지역에 배치된 것이 아니었다. 당시 대부분의 우파 시민이 운집했던 안국역 사거리를 중심으로 남쪽(서울노인복지센터 방향)에는 달랑 1대만 배치됐고, 다른 2대는 북쪽(헌법재판소 방향)에 배치됐다. 북쪽에는 소수의 우파 시민과 경찰 인력만이 있었다. 나머지 앰뷸런스 10대는 퇴진 행동 집회가 열린 경복궁-광화문 일대에 모두 배치됐다.

    <뉴데일리>는 소방재난본부 구급팀에 △‘당일 구급차를 왜 경복궁-안국역 일대에 더 많이 배치시켰는지’ △‘3대가 배치됐던 것은 확실한지’ △‘희생자 이씨를 이송한 구급차는 배치됐던 차량이 맞는지’ △‘아니라면 왜 현장에 배치됐던 차량으로 이송하지 않았는지’ 등을 묻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취했다. 그러나 답변을 들을 수 없었다. 소방재난본부 구급팀 관계자는 “정보공개내역을 보낸 담당자를 비롯한 구급팀이 1박2일 워크샵을 갔다”고 했다. 

    소방당국의 총 책임자인 서울시 입장은 어떨까. 서울시 공보 담당자는 14일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우리 소관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구급차 총 13대 중 3대만 배치된 게 맞다면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미미했던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 그는 “유가족 측이 정보공개요청을 통해 3.10 집회의 서울시 책임에 대해 묻는다면, 그때 공식적인 답변을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유가족이 재차 정보공개요청을 한다면, 그때 가서 서울시 입장을 밝히겠다는 것이다.  

    대한애국당과 유가족 측은 그동안 광화문 천막 농성까지 감행하면서 서울시 책임과 진상규명을 촉구해왔다. 해당 서울시 공보 담당자는 지난달 17일 <뉴데일리>가 “소방당국의 대처가 안이했던 것 아니냐”고 묻자 “2년 전 이미 끝난 사안이다. 서울시가 왜 책임을 지느냐”고 되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