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정수 20% 확대·월 461만원 주장… "연동형 비례제 도입으로 국회 개혁해야"
  • ▲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의 한 식당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었다. ⓒ뉴데일리 박성원
    ▲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의 한 식당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었다. ⓒ뉴데일리 박성원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하는 선거제 개혁을 촉구하며 이를 위해 의원 정수를 20% 확대하는 대신 국회의원 세비를 절반 수준으로 삭감하겠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의 한 식당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현행 선거제의 가장 큰 문제는 국민 의사와 다른 의석 수 차이의 괴리"라며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해법이며, 이를 위해 국회의원수를 360명으로 늘릴 수밖에 없지만 세비를 현행 절반으로 줄여 4인가구 중위소득인 월 461만원에 맞추겠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 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돈 없고 힘 없고 백 없는 사람에게 정치적 기회를 주는 제도"라며 "의원을 줄여도 시원찮은데 늘리는 게 말이 되느냐는 국민 정서 이해하지만, 비례제 도입으로 국회를 혁명적으로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민주평화당은 바른미래당·정의당과 함께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해 당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앞서 야 3당은 지난달 27일 국회와 신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연동형 비례제 대국민 홍보전에 나서기도 했고, 8일 선거제 개혁 관련 국회 토론회에서도 같은 내용을 주장한 바 있다.

    다만 정 대표의 의원 '의원 정수 20% 확대 및 세비 절반 삭감' 주장은 최근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발언과 다소 괴리가 있다. 앞서 14일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여의도역 인근에서 연동형 비례제 홍보캠페인을 벌이며 '의원 정수 10% 확대 및 세비 동결'을 제시했다.

    1월 중순이 넘어간 상황에서 3당끼리도 의견 일치가 안 되는데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을 포함한 연동형 비례제 5당 합의가 원만히 이뤄지기엔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관련, 정 대표는 "정개특위안이 만들어지지 않는 상황 속에서 각자 기본 입장이 있는 것"이라며 "3당의 핵심공유가치는 '연동형'이고, 연동형이 받아들여지면 나머지 부분은 기술적으로 타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 대표는 "3당이 정책 연대를 굳건히 유지해 선거제 개혁의 불씨를 살려냈고, 새해 들어서도 공동전선을 펴고 있는 것은 우리 정치사회에서 드문 예"라며 "대한민국 정치개혁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 대목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정 대표는 △비례대표 공천 전 당원 투표 선출 및 공직선거법 명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 등을 제안했다. 정 대표는 1월 말까지 이같은 선거제 개혁 5당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는다면, 대통령 직속 시민의회 300명을 구성해 시민집단지성을 통해 개혁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권 3년차를 맞은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정 대표는 "민생은 갈수록 어렵고, 경제는 살아나지 않고 빈부격차는 더 벌어졌다. 국정운영의 허점이 나날이 드러나고 있고, 사회적 갈등과 대립은 격렬해지고 있다"며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낮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대표는 "여기에 집권여당의 오만이 국민적 반감을 더하고 있다"며 "소위 '20년 집권론'으로 지지자들 사기진작 외에 얻은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묻고 싶다. 현실을 직시하고 절박한 마음으로 정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여당은 최근 경제 위기론이 확산되자 친재벌 정책과 실패한 기득권 경제논리로 돌아가고 있다"며 "이러면 이명박·박근혜 정부와 하등 다를 바 없다. 공정경제 확립과 고용·분배 구조 대전환에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