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좌클릭, 야권은 우클릭 '좌우 이념 통합'
  • 여야 차세대 대권 주자들이 내는 엇갈린 목소리가 눈길을 끌고 있다.

    보수 성향인 한나라당 대권 후보들은 ‘복지론’에 심취한 반면, 민주당 차세대 지도부로 떠오른 안희정 충남지사는 ‘안보론’을 강조하고 나섰다.

    정치 전문가들은 “이제 더 이상 보수=안보, 진보=복지라는 단순한 논리로 구별할 수 없는 시대”라며 “좌우 통합을 이룬 실용적 이념이 각광받게 될 것”이라고 긍정적 진단을 내리고 있다.

  • ▲ 지난 11일 안희정 충남지사가 김문수 경기지사를 초청해 마련한 안보와 통일 특강에서 함께 발언하는 모습.ⓒ자료사진
    ▲ 지난 11일 안희정 충남지사가 김문수 경기지사를 초청해 마련한 안보와 통일 특강에서 함께 발언하는 모습.ⓒ자료사진

    ◇ 안희정, “헌법이 나에게 ‘조국 통일’을 명령한다”

    안 지사는 최근 보수단체 초청 강연에서 “대한민국 헌법은 나에게 ‘조국을 평화적으로 통일시켜라’고 명령하고 있다”고 통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군본부가 있는 계룡시에서 예비역 장성들과 재향군인회 회원들을 앞에 두고 안 지사는 이 같이 말하고 “대한민국 정치 지도자들이 국가 안보를 위해 통일문제를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짚었다.

    그는 “대한민국의 이 같은 발전은 모두 한국전쟁을 겪은 이 자리에 계신 어른들이 이룩한 것”이라고 치켜세우며 ‘존경한다’는 말을 거듭 입에 올렸다.

    안 지사는 자신을 항상 ‘친북 좌파’로 비판했던 장인어른과의 일화를 소개했다. 그는 “장인께서는 저에게 노무현 오른팔이라고 하면서 왜 북한에 퍼주기만 하느냐고 항상 비판적인 말을 했고 논쟁까지 벌여 매우 힘들었다”면서도 “그러나 고향을 등지고 떠났을 장인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저를 괴롭히는 사람이 가장 큰 스승이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통일 방법론에 대해서도 “박정희 대통령의 7·4 남북 공동성명, 노태우 대통령의 남북기본합의서, 김영삼 대통령의 국방백서 내용에 우리의 주적에서 북한을 삭제한 것, 김대중 대통령의 6.15남북정상회담, 노무현 대통령의 10·4 남북선언 등을 통해 꾸준히 통일을 위한 준비를 해왔고 이제 결실을 맺어야 할 때가 왔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제 철이 들고 보니 나와 당신의 생각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하기로 했다”며 “이제는 국민들이 북한과 전쟁을 해야 할지, 평화적 통일을 이뤄야 할지 정치 지도자들이 판단하도록 처방전을 내려줘야 한다”고 그동안의 민주당론과 어긋나는 통일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 박근혜·오세훈·김문수, “복지는 내가 전문가”

    반면 한나라당은 이미 복지론 내세우기에 열을 올린다. 박근혜 전 대표가 제일 먼저 ‘한국형 사회복지론’을 들고 나오면서 경쟁 구도가 생긴 이 영역에는 수도권 빅2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문수 경기지사가 가세했다.

  • ▲ 지난 11일 안희정 충남지사가 김문수 경기지사를 초청해 마련한 안보와 통일 특강에서 함께 발언하는 모습.ⓒ자료사진

    사실 박 전 대표는 지난 2009년 10월 26일 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30주기 추도식에서 “아버지가 경제성장을 이룩하셨지만 경제성장 자체가 목적이 아니었다. 아버지의 궁극적인 꿈은 복지국가 건설”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앞서 같은 해 5월 미국 스탠퍼드대 강연에서는 “경제 발전의 최종 목표는 소외 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공동체의 행복 공유”라며 그의 복지에 대한 애정을 보이기도 했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은 “지난 대선 이후 계속 갈고닦은 복지에 대한 로드맵을 처음으로 선보이는 것”이라며 “다소 어색하다는 말은 있지만, (박 전 대표를)함께 모신 이들에게는 ‘귀에 박힌 소리’”라고 귀띔했다.

    오 시장과 김 지사도 복지론에 관해서는 지지 않는다. 오 시장은 고기를 제공하는 게 아닌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자립형 복지관’을 내세우고 있다. 이를 통해 ‘서울형 그물망 복지’라는 신개념을 도입해 대표적인 자랑거리로 삼았다.

    김 지사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신의 복지관을 열창한다. 무한돌봄 등 ‘더 낮은곳에서 섬긴다’를 콘셉트로 ‘현장 맞춤형’ 복지 정책을 펼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