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은 태극기 만세 운동인데… 한완상 "촛불이 3·1운동 가치 계승" 궤변
  • ▲ 이종걸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종현 기자
    ▲ 이종걸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종현 기자
    이종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토론회를 열고 '촛불 성역화'에 나섰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일제에 항거한 3·1운동의 정신이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촛불집회로 그대로 이어졌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이날 오후 국회도서관 소강당에서 열린 '3·1운동, 민주주의 그리고 공화주의' 학술대회는 3·1운동과 2016 촛불집회의 국민주권사상의 동질성에 초점을 맞췄다. 

    이 의원은 축사를 통해 "3·1운동으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이 결성되고, 임시헌장 제정 및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던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독립운동을 민족운동과 민족적 주체의 형성 과정으로 보는 것과 동시에, 민주주의 제도가 준비되고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의 탄생 과정으로 보는 시야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문희상 국회의장은 사전 자료집에 낸 축사에서 "1919년 4월11일 임시정부와 함께 공포된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임을 밝혔다"면서 "국민들은 4·19혁명, 광주민주화운동, 87년 민주화운동, 그리고 촛불혁명으로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정신을 면면이 실천해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토론회에 초청된 전문가들은 발제에서 촛불시위의 근원이 3·1운동에 있음을 강조했다.

    한완상 서울대학교 교수는 "비폭력 평화적 가치를 지향했던 3·1운동은 그 무엇보다 적극적인 투쟁이었고, 감동적인 저항이었다"며 "그런 점에서 2016년 가을부터 2017년 초봄까지 1700만명이 참여한 '촛불시민혁명'은 3·1운동의 비폭력 평화 가치를 가장 훌륭하게 계승한 운동"이라고 평가했다.    

    김재홍 서울디지털대학교 총장은 "촛불혁명은 20차례에 걸쳐 매주 토요일에 광화문에서 주로 열렸다. 그 참가자들에도 계층적으로, 학력별, 소득별로 골고루 전 사회 계층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며 "이 점에서 3·1운동의 참가자와 동질성이 매우 강하다"고 강조했다. 

    "건국절 시비, 헌법 공포일을 정부수립일로 했어야"

    강경선 방송대 명예교수는 한국사회의 이념적 주제인 건국절 논란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강 교수는“헌법 전문을 볼 때 처음부터 지금까지 일관되게 인정되고 있는 현행 헌법의 뿌리는 3·1운동”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 국가의 성립은 헌법 제정과 발표로 시작되는데, 한국은 1948년 7월17일 헌법을 공포했지만 이후 1개월간의 미 군정 존속 후 8월15일에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선포함으로써 헌법 효력의 공백기를 인정하는 꼴이 됐다”며 “만약 헌법 공포일을 정부수립일로 잡고 내외에 선포 기념식을 가졌더라면 오늘날의 건국절 시비도 없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채진원 경희대학교 교수는 "건국절 논쟁은 너무 단기적, 특정 인물을 우상숭배하기 위한 역사관 때문"이라며 "여러 사람이 한 행동들을 특정 사람이 했다는 것처럼 우상숭배한다거나 악인을 만들어 낙인찍는 건 공화주의와 배치된다"고 말했다. 1948년 건국에 대한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업적을 따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