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책임론 공방중…민주당 "조속히 고위급 회담 재개돼야", 자유한국당 "북한에 끌려다녀선 안 돼"
  •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추미애 대표 ⓒ뉴데일리 공준표 기자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추미애 대표 ⓒ뉴데일리 공준표 기자
    북한이 한국과 미국 공군의 연합공중훈련인 '맥스선더’(Max Thunder)' 훈련을 이유로 16일 예정됐던 남북고위급회담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것과 관련, 여야는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정확한 진의 파악이 필요하다며 부정적인 해석론을 차단하고 나섰다. 민주평화당은 회담 연기를 납득하기 어렵다면서도 조속히 고위급회담이 재개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자유한국당은 확실한 핵 폐기 원칙을 강조하면서 북한에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고, 바른미래당은 정부가 진의 파악도 못하고 있다며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특히 최근 개설된 남북 정상간 핫라인을 통해 진위 파악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16일 새벽 북한은 남북고위급회담이 열리기 15시간 전, 돌연 회담 무기한 연기를 선언했다. 이와 관련해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정확한 상황이 알려지기까지 오해와 억측은 자제해 주길 바란다"며 "청와대는 북측의 정확한 뜻과 의미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정부를 두둔했다. 

    그러면서 추 대표는 여전히 남북고위급회담과 이어 예정된 미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도 내비쳤다. 추 대표는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북미도 논의 속도를 높이며 비핵화 방식과 관련한 구체적이 해법을 내놓고 있다"며 낙관론을 폈고 "문재인 대통령도 모든 일정을 비우고 일주일 뒤 개최될 한미정상회담 준비에 집중하고 있다"며 문 대통령을 적극 엄호하기도 했다.

    자유한국당은 이번 회담 연기를 계기로 미북정상회담 역시 '심사숙고'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먼저 회담을 제안 한 지 15시간도 되지 않아 돌연 취소하며 약속을 뒤엎는 북한의 태도는 우리가 세계에서 가장 변화무쌍하고 예측불가한 상대와 마주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며 북한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또한 "북한의 회담 중지 이유가 북한이 통지문에서 막말로 비난한 인사로 추정되는, 북한이 아킬레스건이라고 여기는 태영호 공사를 의식한 것인지, 백악관 존 볼튼 보좌관이 이야기한 핵폐기 방식에 대한 반발인지, 여러 예측이 나오고 있다"며 북한의 회담 연기 배경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지금 이 순간, 대한민국 정부에 가장 필요한 것은 대북문제에 있어서의 굳건한 원칙 고수"라며 전 대변인은 "북한의 속내를 면밀히 파악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당장의 국내 여론을 의식하는 끌려다니기식 미봉으로는 앞으로도 거듭될 북한의 전략에 휘둘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바른미래당 역시 우려의 입장을 보였다.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는 "판문점선언 하나로 마치 핵도, 북의 도발도 사라지고 벌써 평화가 다 온 거 같이 우리 스스로 무장해제 하는 것은 결코 정상이 아니다"라며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했다. 

    박주선 공동대표 역시 "북한이 갑자기 고위급회담을 취소한 저의를 이해할 수 없다"며 "이것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회담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또 다른 장애 사례가 되거나 먹구름이 끼지 않을까 하는 우려와 불안이 가시지 않는다"고 유 공동대표와 의견을 같이 했다. 

    민주평화당은 다소 모호한 입장을 내놨다. 최경환 평화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측이 연례적인 한미군사훈련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회담 연기를 통보한 것은 그동안 북측이 보여줬던 통 큰 합의와 태도로 볼 때 납득하기 힘들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러면서도 최 대변인은 "남북고위급회담 취소는 북미대화 과정의 신경전의 결과로 나온 것으로 보이지만 남과 북은 남북관계 진전이 북미대화의 추동력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며 "빠른 시일 내 남북고위급회담이 재개되도록 노력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평화당의 박지원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미국 조야에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지나친 허들 높이기 및 압박에 대한 반발이 원인"이라며 미국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