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보고는 사건 당일 오전 10시쯤, 5일에는 '북한의 목함지뢰 추정' 서면보고
  •  

    청와대가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도발 사건이 터진 4일부터 9일까지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건 상황을 4차례에 걸쳐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목함지뢰(木函地雷)로 추정된다'는 내용은 5일 2차 보고에서 이뤄졌고, 8일 3차 보고에서는 '북한이 매설한 목함지뢰'라는 보고가 올라갔다.

    청와대는 12일 오후 북한의 지뢰도발에 대한 정부의 대응과정에서 부처간 엇박자와 늑장대응 논란이 불거지자 브리핑을 갖고 다음과 같이 해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사건의 최초 보고는 4일 오전 7시 30분, 사건 발생 이후 약 2시 30분이 지난 오전 10시쯤 위기관리상황실을 통해 이뤄졌다"고 밝혔다.

    당시 보고에는 비무장지대(DMZ) 수색 작전 중 이상 폭발물로 2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두 번째는 하루 뒤인 5일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것(지뢰)은 이상 폭발물이거나 유실물이 아닌 북한의 목함지뢰로 추정되며, 확실한 합동조사를 통해 대응책을 강구하겠다"는 내용을 서면으로 보고하면서 이뤄졌다.

    이후 8일에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 개최 후 결과 보고가 있었고, 9일에는 NSC 상임위 회의에 따른 국방부의 향후 조치 계획 및 세부 결과 보고 등이 이뤄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4일 '미상 폭발물에 의한 사고'로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건이 보고됐고, 다음날 1차 현장조사로 목함지뢰에 의한 폭발로 추정된다는 잠정 결론을 내린 후, 6~7일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군 정보기관, 주한유엔군사령부(UNC)가 참가하는 현장합동조사를 통해 북측이 매설한 목함지뢰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합동조사결과를 토대로 신속하게 NSC 상임위를 열었으며 빠른 시간 내 조사하고 나름대로 신속히 대응했다"고 밝혔다.

     

  • ▲ 파주 국방부 공동취재진 제공. ⓒ조선일보 DB
    ▲ 파주 국방부 공동취재진 제공. ⓒ조선일보 DB

     

    청와대 관계자는 5일 통일부의 고위급 회담 제의로 불거진 부처간 엇박자 논란에 대해서도 "당시에는 국방부 통일부 모두 '미상 폭발물에 의한 사고'에 불과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고 반박했다.

    대북 제의가 이뤄진 이날 오전 11시 30분까지 당시 폭발이 북한의 목함지뢰 때문으로 추정할 어떤 이유도 없었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대화를 통해 남북관계를 풀어보자는 차원에서 (5일) 대북 메시지를 전했고, 행사가 끝난 직후 (통일부가) 대화를 제의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같은 날 박근혜 대통령이 '경원선 남측구간 복원식' 행사에 참석한 것과 관련해선 "현장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경원선 행사 계획을 바꾸거나 취소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NSC 상임위가 도발 나흘 만인 8일 오전에서야 열리면서 늑장대응 논란이 불거진 데 대해서도 "북한이 의도적으로 매설한 목함지뢰에 의한 폭발이라는 것이 확실히 정리된 후 NSC 상임위를 개최해야 회의 이후 각 부처가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북한 지뢰도발 사건이 경계실패에 따른 것이라는 정치권 일각의 지적과 관련, "GP(전방감시초소)는 차단 목적보다는 조기 경고하고 침투 흔적을 발견하는 목적으로 경계실패라는 용어는 적절치 못하다"며 "(다만) 적침투를 조기에 탐지추적하는 DMZ 작전의 전반적 주도권을 장악하는 감시활동이 보완돼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낮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독립유공자와 유족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한 자리에서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히 대처해 나갈 것이며, 동시에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고 평화를 구축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