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때 패턴, '미사일→핵실험→군사적 도발'
  •  

  • ▲ 구글어스가 지난해 11월 13일 촬영한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일대 모습. ⓒ 연합뉴스DB
    ▲ 구글어스가 지난해 11월 13일 촬영한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일대 모습. ⓒ 연합뉴스DB

     

    북한이 12일 제3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그동안 국제사회의 끊임없는 경고도 소용없었다.

    북한의 향후 행보는 예측하기 어렵게 됐다.

    전문가들은 우려되는 점으로 남한에 대한 군사적 도발을 꼽는다.
    앞서 제1차, 제2차 핵실험 때도 북한은 미사일을 발사한 뒤 핵실험을 했다.

    특히 북한은 2009년 2차 핵실험을 실시한 뒤 미국, 한국 등 국제사회가 강경하게 대응하자 그해 11월 서해 상에서 남북 간 해군이 충돌한 이른바 '대청해전'을 일으켰다.

    이번에도 북한은 지난해 12월 12일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데 이어 이날 핵실험을 했다.

    차이가 있다면 1차, 2차 때는 핵실험 이후 유엔 안보리 제재가 이뤄졌지만 3차 때는 핵실험 이전에 제재가 발동됐다는 것.

    지난달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2087호)에서 유엔 안보리는 북한이 추가 도발할 경우 '중대한 조치(significant action)'를 취하겠다고 경고했었다.

    안보리가 추가 제재에 나선다면, 북한의 향후 도발은 이전보다 더욱 강경해질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날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3차 핵실험이 1차 대응조치라며 미국이 적대적으로 정세를 복잡하게 하면 2, 3차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특히 이명박 정부가 북한의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개발, 무력도발에 대해 단호히 대응해왔기에 북한 입장에서는 정권 교체기를 '기회'로 삼을 수도 있다.

    이명박 정부보다 좀 더 유연성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는 박근혜 정부를 군사적 도발로 압박, 자신들이 원하는 대북지원 등을 노릴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