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국정원', 해킹 주체로 중국 국가안전부 특정하고도 비공개외교부 "지난해 1월 4.5G 분량 이메일 외부에 유출… 기밀 포함 안 돼"
  • ▲ 중국 정보당국인 국가안전부는 외국의 일부 단체가 생물종 연구를 구실로 중국인의 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려 한 사례가 있다는 점을 들면서 보안에 주의해야 한다고 공지했다고 30일 중국 관영매체가 보도했다. 사진은 2016년 4월 14일 중국 상하이의 한 사무실 건물에 걸린 중국 국기. ⓒAP/뉴시스
    ▲ 중국 정보당국인 국가안전부는 외국의 일부 단체가 생물종 연구를 구실로 중국인의 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려 한 사례가 있다는 점을 들면서 보안에 주의해야 한다고 공지했다고 30일 중국 관영매체가 보도했다. 사진은 2016년 4월 14일 중국 상하이의 한 사무실 건물에 걸린 중국 국기. ⓒAP/뉴시스
    국가정보원이 문재인정부 시절인 지난해 1월 외교부를 해킹해 4.5GB(기가바이트) 분량의 이메일을 유출한 주체로 국정원 격인 중국 국가안전부(MSS)를 지목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9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지난해 1월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해킹 공격이 있었고, 외교부 이메일 스팸 차단 시스템에 저장됐던 일부 자료와 파일 등 약 4.5GB 정도 되는 분량이 유출된 바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유출된 자료에 기밀은 포함돼 있지 않았다"고 강조한 임 대변인은 "대부분 개인 이메일상 차단된 스팸이어서 실질적인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임 대변인은 "이후 외교부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특별 보안점검을 실시했고, 네트워크를 재구성해 재발 방지 조치를 취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보통 해커는 다수의 중간 경유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최종 경유지 IP를 근거로 해서 특정 국가에서 해킹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전제한 임 대변인은 "외교부는 국경 없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을 고려해 국가에 대한 구분 없이 사이버 침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날 동아일보는 정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정권교체 한 달여 뒤인 지난해 4월경 우방국에서 한국 정보 채널을 통해 외교부를 상대로 한 중국의 해킹 단서, 해커와 활동 시기 등에 대한 구체적 첩보가 전달됐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첩보에 중국 국가안전부가 문재인정부 시절이던 지난해 1월 당시 청와대 전산망에 침투해 국방정보를 빼내고 정보 수집을 시도한 구체적인 정황, 유출된 외교부 이메일, 중국 해커들과 이들의 활동지역과 위치 등 구체적 정보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특히 박지원 전 원장이 이끌던 국정원은 지난해 1월 해킹 첩보를 자체적으로 입수, 중국 국가안전부가 스팸 차단 장비의 취약지점을 악용하고 이메일을 유출한 사실을 확인했지만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대선 한 달여 전인 지난해 2월 국민의힘은 "국정원이 대선을 앞두고 메인서버를 교체해 국내공작 관련 증거를 인멸하려 하고 있다"며 서버 교체 중단을 요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