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열했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입지 유치전이 16일 대전 대덕단지 선정으로 막을 내렸다.

    탈락한 지방자치단체들의 반발이 쉽게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정부와 과학벨트위원회는 엄정한 심사 평가 결론 내려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정부와 과학벨트위가 설명한 주요 후보지의 탈락 절차와 근거는 다음과 같다.

    교과부 과학벨트기획단이 지난달 13~22일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과학벨트 조성에 필요한 최소 165만㎡(50만평) 이상 면적을 갖추고 곧바로 개발할 수 있는 땅을 조사한 결과, 39개 시·군의 53개 부지가 검토 대상에 올랐다.

    이후 진행된 1차 평가에서는 △연구기반 △산업기반 △정주환경 △접근성 등 세부 지표별로 각 후보지를 7등급으로 나누고 등급별로 점수를 매겨 상위 10개 시·군의 21개 부지를 추렸다.

    이 같은 1차 정량평가를 통과한 시·군이 바로 대전·대구·부산·광주·청원·구미·천안·포항·창원·울산 등이다.

    지표별 가중치는 연구·산업·도시개발 전문가 25명이 과학벨트위와 별도로 정했다.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지표는 연구기반(37.12%)이었고, 이어 정주환경(18.16%)·산업기반(18.08%)·접근성(13.6%)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이들 21개 부지 가운데 포항 테크노파크 2단지, 광주 진곡산단, 구미 국가산단, 울산 하이테크밸리 등 4곳은 최소 도로·녹지와 이미 분양된 땅 등을 빼자 최소 면적 요건(165만㎡)을 채우지 못해 탈락했다.

    광주 평동 군사격장의 경우 '즉시 개발'이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됐다.

    반면 최종 입지로 선정된 대전 신동·둔곡 지구와 부산 동남권의학원·장안택지지구의 경우 2개 지구를 합치면 면적 요건을 충족했기 때문에, 한 부지로 간주한 뒤 지반·재해 안전성 평가 대상에 포함시켰다.

    이 같은 조정을 거쳐 14개 부지의 지반·지해 안전성을 점검한 결과 창원의 웅동·웅천, 부산의 국제물류, 포항의 블루밸리 등 3곳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웅동·웅천은 지진 발생 시 지하구조물의 안전성 보장이 어렵고, 국제물류는 두꺼운 충적층인 데다 풍화 정도도 심했다. 블루밸리의 경우 기반암의 위·아래쪽이 전혀 다른 성질의 암석으로 이뤄져 역시 고배를 마셨다.

    결국 9개 시·군의 11개 부지가 2차 평가, 즉 입지평가위원회 위원들의 주관적 정성평가 대상으로 남았다.

    위원들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산업연구원·국토연구원 등 전문기관이 작성한 후보지별 분석자료와 각 지자체의 제출자료 등을 검토, △연구기반 △산업기반 △정주환경 △부지확보 용이성 등 4개 항목별로 점수를 매겼다.

    연구기반, 산업기반, 정주환경 3개 항목의 경우 1차평가(지표별 정량평가)와 위원 평가(주관적 정성평가) 결과를 50대 50 비율로 합산했고, 부지확보 용이성(가중치 12.96%)은 정성평가만 이뤄졌다.

    그 결과, 대전(신동·둔곡지구)은 총점 75.01점을 얻어 1위를 차지했고, 2위 대구(테크노폴리스지구)는 64.99점에 그쳤다. 이어 △광주(첨단 3지구) 64.58점 △포항(융합기술지구) 62.75점 △부산(동남권 원자력 산단지구·장안택지지구) 등의 순이었다.(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