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가격 이견으로 제자리 걸음발등 붙붙은 지자체, 지원 방안 강구 중
  • 경기도 파주 미군기지 부지에 이전을 계획 중인 이화여대 파주캠퍼스 사업이 안개 속에 갇혔다.

    땅을 파는 국방부와 사려는 이대가 서로 제시한 땅값을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지역에 대학을 유치하려는 경기도와 파주시 등은 ‘사업 중단’을 우려하며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이화여대 파주캠퍼스 조성사업은 2009년 9월 착공을 목표로 추진됐다.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캠프 에드워드 21만9000여㎡에 조성되는 이대 파주캠퍼스 부지를 매각하는 국방부의 제시가격은 1750억원. 하지만 이대 측은 감정평가액인 652억원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다.

    양 측이 제시한 가격이 무려 2.7배나 차이가 나면서 이대 측은 지난 18일 중앙토지수용위원회에 토지 수용 재결신청을 하지 않았고 최종 ‘데드라인’으로 분석했던 올해 하반기 착공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대 관계자는 "국방부에 2차에 걸쳐 감정평가액대로 부지를 매각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불가하다는 답변만 들었다"며 "땅값이 652억원 이상을 넘어설 경우 학교가 매입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업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양 측을 중재하기 위해 국무총리실까지 나섰지만, 의견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대 측은 지난 27일 국무총리실이 마련한 파주시-국방부-이대 3자 관계자회의도 불참했다. 계속된 사업표류에 따른 불만의 표시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땅값 협상에 중대한 진전이 없을 경우 이대가 사업 자체를 포기할 것이라는 우려를 계속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북부에 대학 유치에 팔을 걷고 나선 경기도는 마음이 급해졌다. 이번 사업 추진이 실패할 경우 현재 제2제3 캠퍼스 이전을 준비 중인 타 대학의 진출에도 막대한 지장을 줄 수 있다.

    때문에 경기도와 파주시는 “우리가 돈을 걷어서라도 캠퍼스 유치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파주시 관계자는 "이대가 당초 감정평가액보다 땅값이 올라갈 것을 우려해 중토위 재결 신청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단 중토위 재결 절차를 밟아야 땅값을 확정, 사업을 재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재결 신청을 하고 그 후 인상된 부분에 대해서는 파주시와 경기도가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이대를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도 "결국 땅값에 대한 차이가 커 발생한 문제로 기반시설 조성 등의 방법으로 늘어난 비용에 대해 경기도와 파주시가 이대를 지원하면 땅값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화여대 파주캠퍼스는 2006년 10월 경기도와 파주시, 이화여대가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본격 추진됐다. 2008년 3월에는 파주시가 불과 6시간 만에 사업 신청을 전격 승인해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