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폐수로 썩어가는 낙동강변 ⓒ 뉴데일리
    ▲ 오폐수로 썩어가는 낙동강변 ⓒ 뉴데일리

    “지금 이 순간에도 강으로 오수며 쓰레기가 마구 들어가고 있습니다. 강이 다 죽어가고 있는데 그대로 두자고요? 상류 몇 곳만 사진 찍어서 낙동강 문제 없다고 보도하는 언론, 당장 자기들이 여기 와서 살아보라고 해요.”

    경북 고령군 고령읍 한 주민의 푸념이 이어졌다.
    “4대강 살리기가 저쪽 사람들한테는 정치논리인지 몰라도 우리한테는 생존 문제입니다. 저 오염된 물이 우리 식수원이에요. 밥 해먹고 젖먹이 우유 타주는 물이라는 말입니다.” 그는 말하기도 싫다는 듯 손사래를 쳤다.

    굳이 주민의 말을 안 빌려도 낙동강의 오염은 심각하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낙동강은 수량이 부족하고 주기적 홍수로 ‘죽음의 강’이란 오명을 안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낙동강 오염 원인은 크게 생활하수와 공장폐수 두 가지다. 경북도 자료에 따르면 수계 전체 오·폐수 하루 발생량 222만t 중에서 생활하수가 175t 톤으로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폐수는 400여개 업소 45t 톤으로 20%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생활하수 발생량의 83%가 중·상류지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유역 내에 가동 중이거나 건설 중인 28개 공단 중 26개 공단이 중·상류지역에 자리하고 있다. 모두 4055개 업소 중 대구 유역과 상류에 80% 공장이 집중해 있다는 것은 심각하다. 또 금호강 유역에서 총 폐수 53%가 발생해 낙동강 중류 오염도 가중으로 강바닥에 공장 폐수 중금속이 쌓이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 10년간 홍수 등으로 인한 재해피해액이 6조8000억원이었고 복구에 11조원이 투자됐다”며 “1300만 영남인의 젖줄인 낙동강을 다시 흐르게 하기 위해선 보와 중소 규모 댐, 농업용 저수지를 만들어 ‘물그릇’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는 4대강 살리기 사업 중 다른 강에 비해 낙동강에 사업물량이 집중된 것도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낙동강이 다른 강에 비해 길이가 길고, 그만큼 홍수와 가뭄 등에 취약한 때문입니다.” 그는 “댐 홍수조절용량을 보면 낙동강은 5.4억㎥로 한강 13.9억㎥의 1/3에 불과하다”며 “중상류 지역은 만성 수량 부족을 겪고 있고 하류지역은 갈수기엔 수질 악화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과거에도 전체 국가하천 정비 사업비의 절반 정도가 낙동강에 투입되어 왔다.

    “환경파괴요? 그런 일은 절대 없을 겁니다.” 공원식 낙동강살리기추진본부장은 “일부 단체의 반대 논리는 소모적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낙동강 살리기의 목적은 한강처럼 주민들과 강과 함께 살아가는 친환경 공간 조성”이라고 말했다.

    국립환경과학원 정동일 부장은 ‘보 설치로 수질이 악화될 수 있다’는 반대론자들의 주장에 “한강은 많은 댐이 건설되어 수질이 상당히 개선됐다”며 “그러나 낙동강은 수질 문제로 주민이 많은 곤욕을 치렀고 가뭄이 심할 때는 악취와 더불어 수질악화로 강 유역 주민 고통이 많았다”고 말했다. 정 부장은 “보 설치로 총인(부영양화의 지표(t-p))이 많아져 수질이 악화되는데 환경사업으로 개선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총인을 줄여 하천 수질을 개선하고 보는 가동부를 설치하여 흐름을 만들어주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겨울 가뭄으로 신음하는 임하댐. ⓒ 뉴데일리
    ▲ 겨울 가뭄으로 신음하는 임하댐. ⓒ 뉴데일리

    공 본부장은 또 “이미 대통령이 안 하겠다고 발표한 대운하로 인해 4대강 살리기까지 시민에게 정보가 왜곡 전달된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지역주민 대부분 달라진 강을 원하지만 정치적이고 반대를 위한 반대논리가 국민의 바른 판단을 흩트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주민을 대표하는 경상북도 의회는 지난 5월 4대강 살리기 추진사업에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경제살리기 지원특별위원회’ 명칭을 ‘경제 및 4대강 살리기 지원특별위원회’로 바꿔 활동 중이다. 이 위원회 송필각 위원장은 “의회 차원에서 낙동강 관련 사업을 중점 지원할 것”이라며 “낙동강 살리기가 ‘경북 살리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 역시 “낙동강 살리기를 통해 낙동강 권역 전체에 새로운 강 문화권과 강 경제권을 조성해 구미, 포항에 이은 새로운 성장축이 하나 더 만들어질 것”이라고 경제효과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경남 창원군 이방면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한 주민은 “지역경제가 좋아지면 누가 고향 떠나 서울에 가서 고생을 하겠느냐”며 “강변이 정리되고 각종 시설이 들어서면 그만큼 일자리가 창출되고 찾아오는 사람이 늘면 지역경제도 좋아지지 않겠나”고 되물었다.

    실제로 낙동강 살리기 사업엔 요트 등 수상레저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생태공원, 인공호수, 산책로, 자전거도로, 실개천 등을 조성하는 사업도 함께 추진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윤영선 기획조정실장은 4대강 살리기의 경제효과에 대한 반대론자들의 지적에 대해 “건설산업은 생산유발효과가 있고 서비스 성격으로 고용효과가 크며 지방경제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대답했다. 윤 실장은 “건설산업 고용효과는 단순노무직 17%. 기능직 46%, 기술직 12% 정도”라며 “ 4대강이 국토의 70%를 차지한다고 할 때 지방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제는 4대강 살리기가 단기적 효과가 크다는 것인데 장기적 효과 감소를 감안하여 장기적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성용경 녹색미래실천연합 연구실장은 “4대강 살리기는 결국 물 관리와 경제효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것”이라며 “일부 반대 논리와 달리 죽어가는 강을 살려 국민에게 돌려주는, 다가설 수 있고 친해질 수 있는 강을 만들자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