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법 국회 통과에 따라 가장 빠른 변화가 기대되는 분야는 신문과 대기업의 종합편성채널 참여다. 지금까지는 지상파를 제외하고는 종합편성채널이 존재하지 못했지만 앞으로 정보력의 신문과 투자력의 대기업을 포함해 최대 2개 사업자까지 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법 논란 과정에서 좌파 진영은 신문과 대기업이 지상파 채널을 장악할 것이라고 선전했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지분 한도 10%에 묶인 지상파채널보다 참여 폭이 넓은 종편채널(30%)에 더 관심을 둘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22일 동아일보 사설 '노영(勞營)방송 MBC 인수에 관심 없다'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동아일보는 이 사설에서 "MBC 민영화가 법적으로 가능해진다고 해도 동아일보는 노조가 방송을 장악하다시피 한 '노영방송 MBC를 인수할 뜻이 전혀 없음을 분명히 해둔다"면서 "자산 규모가 약10조 원으로 추산되는 MBC를 인수하기 위해선 몇조 원의 자금이 소요된다는 계산이 나오는데 이런 자금이면 새 방송사를 만들어 새 술을 새 부대에 담아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종편채널은 보도, 교양, 오락, 드라마 등 다양한 방송분야를 편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위상이나 영향력이 기존 지상파채널과 별반 다를 바 없다. MBC, KBS, SBS와 다름없는 '제4의 채널'이 새롭게 생기는 것이다. 현재 전국 가구 85%가량이 케이블TV를 통해 TV를 시청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종편채널이 지상파채널과 인접한 채널(5번에서 12번사이)을 확보할 경우 시청자들은거의 차이를 느낄 수 없다.

    특히 방만경영과 왜곡방송 논란이 끊이지 않는 MBC(11번)의 바로 뒤인 12번은 '황금채널'로 떠오를 전망이다. 실제 2003년에도 지상파채널과 가까운 이른바 'V대역(8, 10, 12번)'을 잡기위한 홈쇼핑 업체간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진 바 있다.

    방통위는 이미 마련된 종편채널 도입 정책방안을 토대로 전문가 토론회 등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8월 중에 정책 방안을 확정하고 승인계획을 공고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종편 사업자는 사업계획 평가에 따른 비교심사를 거쳐 11월 중에 선정된다. 연내 1∼2개의 종편 사업자가 선정돼 이르면 내년이면 새로운 채널을 접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방통위는 종편사업자 후보로 지상파 방송사와 경쟁할 수 있는 규모를 갖춰야 한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종편 채널 한 개를 운영하는데 연간 4000억∼5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초기 투자금도 3000억∼6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신규 채널이 생기면서 일자리 창출도 함께 기대된다. 방송업계 관계자는 "편차가 심하겠지만 평균적으로 채널당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인력수요만 500∼1000여명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