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들이 좌파정권을 종식하고자 그토록 외치며, 이명박 당선인이 500여만 표차로 좌파정권을 무너뜨릴수 있도록 해준 가장 큰 원인은, 그 무엇보다 작금의 국가안보가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다는 국민들의 애국심 때문이었다. 그리고 북한이 요구만 하면 막 ‘퍼주기식’으로 우리 자산을 북으로 몰래 넘기는 좌파정권의 무서운 경제 정책을 막아 달라는 국민들의 간절한 경제 회생 소망이 이명박 당선인을 대통령이 되도록 선택한 동인이 되었다.

    친북 좌파정권 때문에 고통받았던 국민들의 분노가 선거를 통하여 이명박 우파정권의 승리를 가져 왔던것이다. 그런데 국민이 그토록 열망하고 기대했던 튼튼한 국가안보확립이라는 명제는 이상희 국방부장관 내정자 발표로 인하여 국가 안보를 염려하는 국민들이 “이것이 아닌데…”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시작했으며 새정부 안보정책에 대해 바빡 긴장감을 갖기 시작했다. 그것은 이상희 전 합창의장이 좌파정권 하의 국군 수장으로써 좌파정권의 친북 국방정책에 적극 동조한 주인공이었다는 점 때문이다.

    이상희 내정자는 노무현 대통령이 한미연합사 해체 작업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적극적으로 동조하였고, 그 결과 국가안보를 생명으로 삼아야 했던 국군작전 책임자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 국군 지휘관이었다. 2005년 3월부터 2006년 11월 사이에 좌파정권이 제주해협을 북한 무장선박이 자유롭게 들락거리도록 만드는데 동참한 군 책임자가 바로 이상희 내정자였고, 그가 만약 진정한 4성 장군 합참의장이였다면 좌파정권이 반헌법적으로 ‘안보허물기, 정책을 밀고나갈 때’ 분연히 군복을 벗는 한이 있을지라도 그것을 막았어야 할 자리에 있었다.

    김정일이 핵 실험을 실행하여 온 국민이 국가 안보의 위협앞에 놓여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생명과도 같은 한미연합사를 해체하고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행사하게 되었었던 전시작전권을 분리시키는 자해적 망국 정책에 동참했던 군 최고 책임자가 바로 이상희였으니 이 어찌 이를 묵과할 수 있겠는가. 2005년 8월, 당시 통일부 장관이었던 정동영은 NSC(국가안보회의)의장 자격으로 친북국방장관이었던 예비역 해군 중장 윤광웅의 동의를 받아내어 북한 선박이 제주와 부산 해엽을 지나다닐 수 있도록 했다고 자랑 했다고 한다. 그 결과 무장한 북한 선박이 상선으로 위장하여 우리의 남해를 마음대로 지나다니면서 우리 측 검문에 불응해도 이를 방치해야만 하는 것이 우리 군의 비참한 안보 현실이다.

    당시 합참은 이러한 제주해협을 북한에 개방한 좌파정권의 ‘안보허물기정책’에 비토권을 행사 할수 있었던 군의 핵심부서였고, 그 합참 총수가 바로 이상희 내정자였다는 것을 생각해 볼때 어떻게 하여 우파정권의 국방부 장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상당한 의문이 떠오른다. 결국 이상희 합참의장은 제주해협을 북한이 자유롭게 왕래 하도록 동의한 군 최고 책임자라고 볼수 있다는 논리다.

    이상희 내정자가 합참 작전본부장이었을때, 북한 함정이 서해 NLL을 넘어와서 우리 함정을 기습함으로써 ‘참수리호’가 격침되고 우리의 애국 군인들이 죽거나 다쳤던 가슴 아픈 교전이 있었다. 이 서해 교전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할 입장에 있었던 사람이 바로 합참 작전본부장이 아니었을까.
    장수는 무엇보다 국가의 존망과 국민의 생명에 대한 책임의식과 사생관이 철저하게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합참 작전본부장으로서, 또 합참의장으로서, 그 막중한 국가안보를 두 주먹에 거머쥔 ‘이상희’씨는 좌파정권이 아꼈던 군 책임자로써 그가 남긴 업적은 단 한마디로 ’노무현, 친북좌파성’ 국방정책을 위해 살신성인했던 노무현의 군인이었다는 사실임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이런 유형의 군인 출신이, 우파정권인 이명박 정권의 초대 국방부 장관에 내정 되었다는 발표를 보고, 우리 국민들은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받아 들이고 있을까? 이상희 국방부 장관의 내정은 당연히 철회되어야 한다. 좌파정권에서 국방정책 수행을 책임진 군인 출신이 우파정권의 국방 정책을 총괄할 수 있는가.

    <객원칼럼니스트의 칼럼 내용은 뉴데일리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