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하와이회담 공동성명서에는 “北미사일 발사 규탄 및 대화 복귀, 우크라이나·대만 지지”외교부 당국자 “회담서 대북관여 제안, 미국 경청”… 정부 안팎서는 “바이든 친서, 北에 전달”
  • ▲ 정의용 외교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성 장관은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하와이에서 회담을 가졌다. ⓒ외교부 제공.
    ▲ 정의용 외교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성 장관은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하와이에서 회담을 가졌다. ⓒ외교부 제공.
    한·미·일 외교장관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미국 하와이에서 회담을 가졌다. 세 나라 외교장관은 회담 후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 같은 날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에서 몇 가지 대북관여 방안을 제시했는데 미국이 경청했다”고 밝혔다.

    한·미·일 외교장관,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규탄

    미국의소리(VOA) 방송 등은 한·미·일 외교장관이 회담 후 내놓은 공동성명 내용을 전했다. 

    공동성명에서 정의용 외교부장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성장관은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불안정을 야기하는 이런 행동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세 나라 장관은 이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달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약속했다”며 “또한 국제사회가 북한과 관련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하고, 북한에는 불법적 행동을 멈추고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세 장관은 "북한에 적대적 의도가 없으며, 전제조건 없이 만나는 데 대해서도 열린 입장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 장관은 이와 함께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과 미국 동맹이 역내 평화와 안정 유지에 필수라는 점을 재확인하고 북핵수석대표들이 빈번이 협력한다는 점도 평가했다. 또한 남북 이산가족 상봉의 중요성과 납북자 문제의 신속한 해결과 관련해서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중국·러시아 견제에 동참… 우크라이나 주권 지지,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 강조

    한·미·일 외교장관은 공동성명에서 우크라이나와 대만도 언급했다. 미국과 함께 러시아와 중국에 견제구를 던진 셈이다. 

    세 장관은 성명에서 “우크라이나 국경 일대에서 러시아의 군사력 증강에 관해 논의하고,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에 대한 흔들림 없는 지지를 공유했다”며 “러시아의 추가적 긴장 고조를 억지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세 장관은 이어 “유엔 해양법협약에 반영된 국제법 준수의 중요성을 특별히 강조하면서, 국제법에 대한 오랜 지지를 재차 강조했고,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동지나해와 남지나해에서 항행의 자유를 지지하고, 중국의 대만 통일에 반대한 것이다.

    한·미·일 외교장관, 北탄도미사일 발사 규탄하는데… 외교부 “대북관여 제안했다”

    미국의소리 방송과 일본 매체들에 따르면, 한·미·일 외교장관은 공동성명 발표 후에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북한에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준수와 대화 복귀를 촉구했다. 

    정 장관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는 분명 잘못된 행동”이라고 지적한 뒤 “미국은 북한에 적대적 의도가 없고, 어떤 전제조건 없이 언제 어디서고 만날 의지가 있다고 여러 차례 확인한 만큼 북한도 이에 화답해 대화와 외교에 조속히 응하라”고 촉구했다.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달 대북제재 대상을 추가한 사실을 언급하며 “우리는 북한에 책임을 물릴 방법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면서도 “(미국은) 북한에 적대적인 의도가 없으며, 북한이 그런 길을 선택한다면 여전히 조건 없는 대화도 열려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이날 외교부 당국자는 대북 규탄과는 거리가 먼 말을 했다. 이 당국자는 “우리 측이 회담에서 대북 관여 방안 몇 가지를 제안했다”며 “미국 측이 상당히 경청했다”고 밝혔다. 북한에 먼저 손을 내밀자는 제안을 했다는 말이다. 

    뉴스1 등에 따르면, 이 당국자는 “(대북관여 방안에 관한) 여러 현실적인 논의가 있었다”며 “특히 한미-한·미·일 외교장관회담에서 그런 논의가 상당히 깊이있게 오갔다”고 설명했다.

    통신은 “다만 이 당국자는 회담 결과로서 어떤 구체적 방안이 나왔다고 밝히기에는 좀 시기가 이른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재 정부 안팎에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명의의 친서를 김정은에게 보내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