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시간 6분 20초 동안 궤도 비행… 터보팬 엔진·복합유도장치 장착” 공개 주장한반도-일본 사정권, 괌에는 못 미미쳐… DSMAC 또는 TERCOM 유도체계 실용화 가능성
  • ▲ 노동신문, 조선중앙통신이 13일 공개한 북한의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시험발사 장면. ⓒ북한 선전매체 화면캡쳐.
    ▲ 노동신문, 조선중앙통신이 13일 공개한 북한의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시험발사 장면. ⓒ북한 선전매체 화면캡쳐.
    북한이 주말과 휴일, 사거리 1500킬로미터의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북한 신형 순항미사일은 한국군의 현무-3C, 미국의 BGM-109 토마호크 미사일과 매우 흡사하다. 북한의 신형 순항미사일은 한일 양국 전역을 공격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국령 괌에는 닿지 않는다.

    북한 “국방과학원, 새로 개발한 장거리 순항미사일 시험발사 성공”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 등 북한매체는 13일 “국방과학원이 새로 개발한 장거리 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11일과 12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매체들은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박정천, 당 중앙위 부부장 김정식, 전일호가 시험을 참관했다”며 “새 순항미사일은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내놓은 국방과학발전 및 무기체계개발 5개년 계획의 중점목표로, 지난 2년 동안 세부적인 부분 시험과 수십 차례의 발동기 지상분출시험(엔진 지상시험)을 했다”고 주장했다.

    북한매체에 따르면,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은 2시간 6분 20초 동안 북한 상공에 설정한 타원 궤도와 8자형 궤도를 선회하며, 총 1500킬로미터를 비행한 뒤 표적에 명중했다. 이 미사일은 ‘터빈송풍식 발동기(터보팬 제트엔진)’을 장착했고, 복합유도결합방식을 이용해 말기유도명중(최종 유도단계) 정확성을 높였다고 북한매체는 덧붙였다.

    “한미 긴밀한 공조 하에 정밀 분석 중”…정해진 대사만 되뇌는 정부

    한편 합동참모본부와 국방부는 이에 대해 별다른 입장이나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 김준락 합참 공보실장이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군은 한미 정보당국 간 긴밀한 공조 아래 정밀 분석 중에 있다”는, ‘정해진 대사’ 이외에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북한이 사전 통보를 했느냐”는 질문에 국방부는 “아시다시피 남북 간 군 통신선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통일부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국방부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면서 북한의 관련 동향을 분석하고 주시해 나가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놨다.

    군 안팎에서는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신형 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사전 포착도 못했고, 발사한 사실도 몰라 크게 당황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북한이 이번에 쏜 순항미사일이 미국의 토마호크 미사일이나 한국의 현무-3C 미사일처럼 지형에 따라 초저고도로 비행한 탓에 북한매체가 보도를 하기 전까지 한미 정보당국은 이를 탐지·추적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일본도 비슷한 상황으로 전해졌다. NHK는 이날 “방위성 간부는 ‘계속해 정보수집과 분석을 하는 중’이라는 대답만 내놨다”고 보도했다.
  • ▲ 2012년 4월 국방부가 공개한 현무-3C 순항미사일 시험 장면.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2년 4월 국방부가 공개한 현무-3C 순항미사일 시험 장면.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현무-2B 닮은 꼴 북한판 이스칸데르…현무-3C 닮은 꼴 북한 순항미사일

    북한 신형 순항미사일의 형태와 운반·발사 방식이 한국군의 현무-3C를 빼닮았다는 점도 관심을 끌고 있다. 북한매체가 공개한 사진 2장을 보면, 지난 1월 제8차 노동당 대회 기념 열병식에서 공개했던 5연장 초대형 방사포 차량 발사대를 사용해 신형 순항미사일을 쏘았다. 비행 중인 신형 순항미사일은 미군의 BGM-109 토마호크 미사일과 똑같다. 한국군의 현무-3C 순항미사일과는 탄두부 형태만 약간 달랐다.

    토마호크 미사일과 현무-3C 미사일은 터보팬 엔진을 장착하고 있으며, INS(관성항법장치)·GPS(지구위치체계)와 함께 지형대조 항법체계를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마호크는 디지털지형영상대조항법체계(DSMAC)를, 현무-3C는 지형대조항법체계(TERCOM)를 사용한다. 이 유도체계는 목표물 가까이에 다다르면 미리 입력한 지형과 현재 지형을 대조해가며 목표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특히 초저공으로 목표물을 향해 비행할 때 매우 유용한 유도체계다.

    북한 신형 순항미사일이 1500킬로미터를 비행할 동안 한미 정보당국이 탐지·추적하지 못한 게 사실일 경우 북한도 DSMAC 또는 TERCOM 유도체계를 실용화 했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즉 2019년 9월 이란 순항미사일이 사우디아라비아의 패트리어트 방공망을 뚫고 공격에 성공한 것처럼 북한 신형 순항미사일로 한국군 방공망을 뚫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사거리 1500킬로미터…오키나와까지 일본 전역 타격 가능

    한편 일각에서는 북한 신형 순항미사일의 사거리가 1500킬로미터라는 데 주목한다. 휴전선 일대에서 신형 순항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체는 물론 오키니와·홋카이도를 포함한 일본 전역이 사정권에 들어간다. 한국과 일본이 구축해 놓은 미사일 요격체계는 탄도미사일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 토마호크 미사일처럼 초저공비행이 가능한 순항미사일은 한국군과 일본 자위대의 허를 찌를 수 있다. 다만 괌까지는 닿지 않는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한일 양국은 압박하되 미국을 직접 타격하는 것은 아니라는 메시지를 보낸 게 아니냐고 지적한다. 미국 안보전문가들은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9월 9일 열병식을 축소해 실시한 것은 아프간 철수 등으로 예민한 미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의도”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신형 순항미사일 시험 발사 또한 미국을 겨냥한 도발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주려고 사거리를 1500킬로미터에 맞춘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