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빨라지고 노동력 부족 … 중장년 일자리 마련 시급서울시, 중장년 일자리 지원 위해 '서울런4050' 운영중60대 소외, 이름만 바꾼 중복정책 지적도 나와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49.4세, 지난해 만 55~79세 고령층 인구가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평균 나이다. 10년 전 평균 퇴직 연령인 53세보다 크게 낮아져 50세 이하로 떨어졌다.

    그만큼 일자리를 그만두는 시기가 빨라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더 큰 문제는 이들 가운데 10명 중 4명은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사업부진이나 명예퇴직·정리해고 등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주된 일자리를 그만둔다는 점이다.

    이처럼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진 요즘, '인생 2막'을 준비하는 4050대 중장년을 위해 오세훈 시장 역점 사업인 '서울런'이 나섰다. 청소년 교육뿐 아니라 중장년 세대를 위한 재취업 교육까지 발벗고 나선 것이다.

    19일 통계청의 지난해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령층 인구는 평균 73세까지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법정 정년(60세)보다 13년 더 일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고령층에서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평균 연령은 49.4세로 조사됐다. 노후에 대한 경제적 준비를 시작한 시기는 평균 45세로 나타났다. 내 집 마련과 자녀 학자금 등 돈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시기지만 다른 일자리를 구해야 하는 셈이다.

    40대가 국가 경제활동에 차지하는 영향력을 고려하면 이들의 일자리는 매우 중요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5년간 전체 취업자 수가 136만4000명 늘어나는 동안, 40대 취업자 수는 반대로 46만9000명 줄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 관계자는 "은퇴 연령은 점점 낮아지고 평생 직장이 없어지면서 퇴직 이후를 준비하려는 40~50대가 많아졌다"며 "청년이나 노년 정책은 많지만 중장년 층은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설명했다.
  • ▲ 서울런4050 디지털 금융강사 양성과정.ⓒ서울시
    ▲ 서울런4050 디지털 금융강사 양성과정.ⓒ서울시
    이에 서울시는 만 6세에서 24세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플랫폼인 '서울런'을 확장시켜 중장년 일자리 특화사업인 '서울런 4050'을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다.

    자치단체가 4050 중장년을 대상으로 이런 사업을 내놓은 건 처음이다. 오 시장은 사업을 추진하면서 "그간 청년이나 노인을 위한 (서울시) 정책은 많았지만 중장년 정책은 부족했다"며 "4050의 가장 큰 고민인 직업 안정성과 노후 준비를 돕겠다"고 강조했다.

    서울시가 중장년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들이 서울에서 차지하는 비중 때문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중장년은 서울시 인구의 38.9%를 차지하고 서울시 경제활동인구의 약 50%를 차지한다. 통계로만 보면 중장년은 서울시 경제의 허리다. 

    서울시는 이런 어려움을 겪는 중장년 세대가 다른 세대 중간에 끼어있어 정책적으로 소홀했다고 분석했다. 영유아, 아동·청소년, 청년, 어르신 등 기존 연령대별 혹은 세대별 지원 정책과 비교해 중장년 정책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것.

    서울시는 5개 분야, 48개 사업으로 이뤄진 '서울런 4050'에 2026년까지 약 4600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5개 분야는 ▲직업 역량 강화 ▲재취업·창업 등 일자리 지원 ▲디지털 역량 강화 ▲활력 있는 인생 후반을 위한 생애설계·노후준비 ▲4050 전용 공간 '활력+행복타운' 조성 등이다.

    연령대별 욕구에 맞춘 촘촘한 지원을 통해 중장년의 사회·경제 활동 기회를 확대하고 노후 준비도 강화할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구상이다. 계획으로만 보면 다른 세대 사이에 끼어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우를 받았다는 중장년을 우대한다는 느낌을 받게 한다.

    다만 정책 명칭에 4050을 못 박아 기존 50플러스 정책에 포함되던 일부 60대가 소외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도 한다. 게다가 그동안 서울시가 추진하던 정책에서 명칭을 손보고 대상을 좀 더 세분화한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한 전문가는 "5년 간 투입될 4600억 원의 예산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충분할 수도 어쩌면 부족할 수도 있다"며 "지원 사업은 명칭과 방향이 좋아야 하지만 계획대로 진행하는 게 중요하고 쓰일 곳에 제대로 쓰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