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해외직구 안전성 첫 검사 결과 발표 … 유해·발암물질 '범벅'국내 안전 기준 따른 검사 받지 않고 버젓이 판매범정부 차원의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 필요
  • ▲ 알리익스프레스 광고.ⓒ뉴데일리DB
    ▲ 알리익스프레스 광고.ⓒ뉴데일리DB
    해외직구를 통해 싸다고 구매한 물건이 유해·발암물질 범벅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서울시가 해외직구 물품들에 대해 첫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어린이 용품에서 기준치를 최대 350배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돼 소비자 불안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사정이 이런데도 해외직구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은 국내 안전 기준에 따른 검사를 받지 않는다. 유해물질이 검출돼 국내 판매가 금지된 제품들도 해외직구를 통해 버젓이 판매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전문가들은 수입 관청은 물론 지방자치단체들을 비롯한 범정부 차원의 해결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5일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 판매 상품에 대한 첫 안전성 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첫 검사 대상은 어린이날을 앞두고 구매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어린이용 제품 22종'으로 중국 플랫폼인 테무나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된 제품들이다.

    검사 결과 어린이 슬리퍼와 운동화 등을 꾸밀 때 사용하는 '신발 장식품' 16 품목 가운데 7 품목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최대 348배 초과 검출됐다. 일부 제품에서는 납 함유량이 기준치 대비 33배를 초과하기까지 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불임 유발 등 생식 독성이 있어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이다. 납은 안전기준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기능에 해를 끼칠 수 있고 임신 중에는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어린이용 차량용 햇빛 가리개'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약 324배 초과 검출됐고 제품 일부에서는 납 함유량 또한 기춘치를 초과했다. 물리적 시험에서는 작은 힘에도 부품이 조각나 유아들의 삼킴, 질식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액은 6조8000억 원으로 전년(5조3000억 원) 대비 28.3% 증가했다. 기존에는 미국 직구가 대세였는데 지난해는 절반 가까이가 중국 업체 차지였다.

    실제 지난해 중국 온라인 직구 거래액은 3조2837억 원으로 전년(1조4858억 원) 대비 121.2%가 급증했다. 특히 급성장 중인 중국의 알리익스프레스의 경우 지난 2월 기준 온라인 플랫폼 월간활성이용자 수가 818만명으로 쿠팡에 이어 국내 2위로 올라섰다. 후발주자인 테무 역시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안전성 검사를 통해 위험성을 소비자에게 알릴 수는 있지만 안전성 논란 제품들을 제재할 마땅한 수단이 없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가)할 수 있는 부분은 플랫폼에 검사 결과를 알려주고 판매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방법 밖에 없다"면서 "국내 법인을 통해 '이런 제품이 유해물질이 나왔으니 판매하지 말아 달라'고 협조 요청을 하는 정도"라고 설명했다.

    결국 중국산 '싸구려' 유해 제품을 막기 위해선 정부 당국과 소비자 개개인의 노력이 동시에 요구된다. 연간 1억 건을 넘은 중국산 직구 물량을 감안할 때 세관당국이 일일이 걸러내는 데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는데다 국내 안전 기준에 따른 검사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한 전문가는 "소비자 역시 가격만 보고 구매했다가 큰 낭패를 볼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무조건 '가성비'만 따질 게 아니라 값을 치르더라도 안전하고 오래가는 질 좋은 제품을 써야 해외직구 플랫폼이 우리 경제를 잠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