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유형 맞춤형 특화 일자리 250명 모집기존 집회·시위 등 캠페인 위주 활동에 편중
  • ▲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서울시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사업 5주년 기념행사'에서 대형퍼즐을 맞추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뉴데일리DB
    ▲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서울시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사업 5주년 기념행사'에서 대형퍼즐을 맞추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뉴데일리DB
    서울시가 미취업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장애 유형 맞춤형 특화 일자리' 사업 참여자 250명을 모집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4년간 운영해온 '권리 중심 공공 일자리' 사업을 대폭 개편·보완한 것이다. 기존 권리 중심 일자리는 노동시장에서 소외된 장애인을 위해 권익옹호, 문화예술, 인식개선 등의 분야에서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2020년부터 시행됐다.

    하지만 직무가 집회·시위 등 캠페인 위주 활동에 편중돼 민간 일자리로 연계가 어렵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돼왔다. 실제로 2020∼22년 권리 중심 일자리 직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캠페인이 절반 이상(50.4%)을 차지했다.

    일각에서는 집회·시위에 집중된 활동이 장애인 인식에 되레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서울시는 권리 중심 일자리 사업을 대폭 손질해 장애 유형별로 특화한 일자리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한다.

    장애 인식 강사부터 키오스크 안내, 매장 관리, 사서 보조 등 장애 유형에 특화한 일자리를 공급해 사회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민간 일자리로도 연계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사업 기획 단계부터 중증 장애인이 참여 가능한 직무 발굴을 독려하고, 장애인을 우선 채용하도록 사업자와 협약하는 등 중증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특화형 일자리 제공 기관은 총 25개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취업을 원하는 기관에 개별적으로 구직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소득수준, 장애 정도, 참여 경력, 면접평가 등의 기준에 따라 고득점자 순으로 뽑는다. 선발되면 올해 12월까지 주 20시간 근무하며 월 최대 103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올해 서울시 전체 장애인 공공 일자리는 4748개로 지난해보다 400개 증가했다. 시비 사업은 지난해보다 150개 줄었으나 국비 매칭 사업(국비+시비)은 550개가 늘었다. 관련 예산도 27억3400만 원 증액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어려운 재정 여건으로 올해 전체 예산을 지난해 대비 1조4500억 원 감액했음에도 장애인 복지예산은 1263억 원 늘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