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국 외교장관, 러·북 규탄성명 발표… "국력 총동원해 WMD 위협에 대응"외교부 "국제사회 경고에도 러·북 협력 지속… 3국이 적극 대응할 것"
  • ▲ 박진 외교부 장관이 지난 9월 22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뉴욕에서 약식회의를 갖기 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외교부
    ▲ 박진 외교부 장관이 지난 9월 22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뉴욕에서 약식회의를 갖기 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외교부
    한·미·일 3국 외교장관은 26일 공동성명을 내고 러시아와 북한의 무기 거래를 강력규탄했다. 3국 외교장관은 러시아의 핵·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될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외교부는 이날 박진 외교부장관,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이 '러·북 무기 거래 규탄 한·미·일 공동성명'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3국 외교장관은 "북한이 우크라이나 정부와 국민을 대상으로 사용될 군사장비와 군수물자를 러시아 연방에 제공하는 것을 강력히 규탄한다. 현재 일부 전달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이러한 무기 제공은 러시아의 침략전쟁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크게 증가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3국 외교장관은 이어 "우리는 북한으로부터 군사장비를 조달하기 위한 러시아의 시도를 밝히기 위해 국제사회와 계속 협력해나갈 것"이라며 "북한은 러시아 지원에 대한 대가로 자신의 군사역량을 고도화하기 위한 지원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는 러시아가 북한의 군사적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모든 물자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3국 외교장관은 "대량살상무기나 탄도미사일 또는 재래식 무기 프로그램과 연관된 특정 물품을 북한으로 이전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 협력을 추진하는 것 역시 다수의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3국 외교장관은 "러시아는 이러한 제한 요소들을 담고 있는 유엔 안보리 결의 채택에 찬성한 바 있다"고 상기했다.

    3국 외교장관은 러시아가 북한에 핵·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을 이전할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국제사회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노력을 위태롭게 하고 한반도와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것이며 우리가 국력의 모든 요소를 동원해 점증하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위협에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금 일깨워준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와 함께 3국 외교장관은 "(한·미·일은) 러시아와 북한의 무기 거래나 군사협력, 그리고 그러한 행동들이 국제 안보와 비확산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유하고 있다"며 "러시아와 북한이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이를 위반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 ▲ 북한 김정은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13일(현지시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스푸트니크 제공)
    ▲ 북한 김정은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달 13일(현지시간)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스푸트니크 제공)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한·미·일 3국은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러·북 간의 무기 거래를 포함한 군사협력 동향을 계속 주시해왔다"며 "특히 미국은 지난 10월 중순 백악관 브리핑을 통해 '북한에서 출발한 컨테이너가 우크라이나 전장 부근 러시아 측 탄약창고로 이동했다'는 사실을 공개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임 대변인은 이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그간 러시아와 북한이 무기 거래 등 군사 협력을 계속 추진하고 있어 한·미·일은 사안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이번 외교장관 공동성명이 채택된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3일 미국 백악관은 북한 나진항에서 북한이 러시아에 컨테이너 1000개 이상 분량의 군사장비와 탄약을 실어 보냈다고 발표하면서, 지난 7일과 8일 나진항에 약 6m 표준규격의 컨테이너가 300여 개 적재된 모습이 담긴 위성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나아가 지난 8월26일 이후 최소 11척의 대형 선박이 드나들며 러·북 간 무기 거래가 진행된 징후가 발견됐다는 외신 보도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