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 주장하던 KBS, 근로자 5명 중 1명이 비정규직… MBC는 4명 중 1명 꼴MBC는 "영업비밀" 공개 거부… 방송업계 고질병 '프리랜서 현황' 답변도 거부김영식 "공영방송이 정규직·비정규직 간 차별 심화시켜"
  • ▲ 서울 여의도 KBS 본사 전경. ⓒKBS
    ▲ 서울 여의도 KBS 본사 전경. ⓒKBS
    시청료 분리징수 반대 이유로 공영성을 강조해왔던 한국방송공사(KBS)의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격차가 무려 3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뉴데일리 취재 결과 KBS는 전체 인력의 약 20%를 비정규직으로 고용하면서 임금은 정규직의 3분의 1 수준으로 지급했다. 

    또다른 공영방송인 문화방송(MBC)은 '영업비밀'을 이유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현황자료 제출을 거부했다. 

    11일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이 KBS와 MBC로부터 제출받은 고용현황자료를 본지가 분석한 결과, KBS 정규직 인력(사장 등 집행기관 8명 제외)은 2023년 7월 기준 4119명, 비정규직은 1092명 이었다. KBS 전체 인력의 20%가량이 비정규직인 것이다.

    비정규직의 경우 무기계약직·한시계약직·파견근로직 근무자를 모두 포함한 숫자다.

    다만 KBS는 방송사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프리랜서 인력 현황과 관련해서는 "프로그램 제작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높은 프리랜서 계약 특성상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어 별도의 현황 관리를 하고 있지 않아 자료 제출이 어렵다"며 공개를 거부했다. 이에 실질적인 비정규직 인력은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KBS의 경우 정규직과 비정규직 평균임금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은 각각 9371만원, 3571만원으로 2.6배가량 차이가 났다. 같은 회사에서 함께 근무하면서도 비정규직이라는 이유로 정규직의 절반도 되지 않는 임금을 받으면서 일하고 있는 것이다.

    KBS 정규직 임금체계를 살펴보면 '책임직급'인 M그룹과 '실무직급'인 G그룹으로 나뉜다. 

    국장·부장·팀장급이 속해 있는 책임직급은 근속연수에 따라 다시 M1~M3으로 세분화되는데, 지난달 기준 책임직급에 속하는 인원은 총 662명이다. 전체 정규직의 16%에 해당하지만, 이들이 받는 임금은 정규직 전체 지급 임금 3860억원의 20%인 775억원에 달한다.

    실무직급은 G0~G7로 분류되고 G4는 초임에서 5년 근무자가 해당된다. 이들의 평균 호봉은 5078만원이다. 6년차부터는 G3 직급에 해당돼 9129만원을 받는다.

    KBS 정규직의 경우 1억원이 넘는 고액 연봉을 받는 인원이 전체 정규직 인력의 절반을 웃도는 2324명에 달하기도 했다.

    MBC 사정도 비슷했다. MBC의 경우 올해 기준 정규직(사장·감사·부사장·이사 등 8명 포함) 1478명, 비정규직(파견직 포함) 571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신규채용의 경우 전체 채용 인원(정규직 24명, 비정규직 73명)의 75%를 비정규직으로 채용했다.

    프리랜서 현황은 MBC도 마찬가지로 "회사가 별도의 인력 관리 집계를 하고 있지 않아 관련 자료를 제출할 수 없다"고 답했다.

    MBC는 고용형태별 구체적 임금현황도 공개하지 않았다. '회사 영업비밀'과 '개인정보'라는 이유에서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방송사가 개별 인건비도 아닌 고용형태별 평균 인건비조차 공개를 거부한 셈이다.

    방송업계 특성상 아나운서·작가·조연출 등은 정규직과 비슷한 강도의 업무를 한다. 그러나 공영방송은 비용 절감을 위해 이같이 비정규직 계약을 이어오고 있다. 노동자의 인권을 강조하며 우리 사회의 노동시장 구조를 비판하던 방송사가 정작 현장에서 함께 근무하는 동료들의 현실은 외면하고 있는 셈이다.

    문화체육관광부도 두 팔을 걷어붙였다. 문체부는 공영방송 내 근로자들의 근로환경과 처우를 문제삼아 오는 10월까지 구체적인 피해 사례를 조사하고 가이드라인 마련에 착수하겠다는 방침이다.

    김영식 의원은 "KBS와 MBC는 공영방송으로서 막대한 국민 혈세를 받아 운영되는 만큼 책임과 의무를 다하고 모범을 보여야 하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차별을 계속해서 심화시킨다면 공영방송이라는 간판을 내려야 한다"며 "수신료 인상만 요구할 게 아니라 부당한 근로환경을 개선하며 공영방송 정상화에 함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