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2차 대국민담화에도 혹평… 목적은? 조기 대선시 박원순·안희정 등 출마 못해
  • ▲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오른쪽)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지난달 1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7주기 추도식'에서 나란히 앉아 있다. ⓒ뉴데일리DB
    ▲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오른쪽)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지난달 18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7주기 추도식'에서 나란히 앉아 있다. ⓒ뉴데일리DB

    야권 대선주자들이 이른바 '최순실 정국'이 격화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하야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이들이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주장하고 나선 배경으로 본인들이 유력 대권주자로 거론되고 있는 현재의 분위기를 몰아보겠다는 의도라는 일각의 관측이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직접적으로 대통령의 하야를 외치기보다는 최후통첩 등의 방식을 택하고 있다. 

    문재인 전 대표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제치며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 1위에 올랐다. 조기 대선을 치르면 가장 유력한 상황인만큼 직접적인 하야 촉구는 최대한 자제함으로써 역풍은 피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 4일 성명을 통해 "총리 지명 철회와 거국중립내각을 구성, 내각에 권한을 넘겨줄 것 등을 요구한다"면서 "대통령이 끝내 국민에게 맞선다면 저로서도 중대한 결심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국민과 함께 행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국민들이 대통령의 자진사퇴나 탄핵을 요구하고 있지만, 헌정 사상 초유의 불행을 막기 위한 마지막 충정으로 이같은 해법을 제시해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더민주가 오는 12일에도 외부시민단체 등이 주도하는 민중총궐기대회에 맞춰 '전국당원보고대회'라는 이름으로 독자집회를 열 계획을 밝힌만큼 문재인 전 대표 역시 장외투쟁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는 박 대통령의 즉각 하야를 요구하는 동시에 온·오프라인 퇴진촉구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안철수 전 대표는 지난 2일 "박 대통령은 즉각 물러나라"고 선언하고는, 지난 4일에도 "지금 우리 국민들의 요구는 분명하다. 대통령이 외교를 포함한 모든 권한을 여야 합의 총리에게 이양하고 즉각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라는 연일 대통령 퇴진에 앞장섰다. 

    문재인 전 대표가 자제하는 가운데 선명성을 부각해 '하야 정국'을 주도해서 '문재인 대세론'에 대항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현행 헌법상 대통령이 하야하면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 조기 대선으로 이어질 경우 야권 유력주자들로서는 반기문 총장, 제3지대론 등의 변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셈이다. 

    아울러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등 다른 야권주자들의 대선 출마에도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 ▲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5일 페이스북을 통해
    ▲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5일 페이스북을 통해 "대통령이 하야하면 문재인 전 대표와 안철수 전 대표밖에 출마 못한다"고 지적했다. ⓒ정진석 페이스북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야권을 중심으로 박 대통령 하야 요구가 빗발치는 것과 관련 "박 대통령이 하야하면 법적으로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아예 대선에 출마 못한다. 그러면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나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밖에 출마 못한다"고 지적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지난 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공무원은 90일 이내에 사퇴해야 한다는 공직선거법 53조를 거론하며 "박원순 시장, 안희정 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등 자치단체장들은 차기 대선에 출마를 못하게 된다. 참정권이 제한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통상적으로 각 정당은 1년에 가까운 대선후보 경선 레이스를 펼치는 과정에서 국민과 당원들은 합리적인 검증과 선택을 한다"며 "차기 대통령 선출 과정이 60일 안에 이뤄지면 당내후보 경선의 절차적 정당성도 확보하기 어렵고, 국민들은 어떤 사람이 대통령에 적합한 것인지, 선택권이 박탈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