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단 "조종사 24시간 임무 투입 부담"…운항 악조건 개선되나?
  • ▲ 국방부, 안전처 산림청, 경찰청, 국토교통부는 헬기 안전을 위한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국방부 제공
    ▲ 국방부, 안전처 산림청, 경찰청, 국토교통부는 헬기 안전을 위한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국방부 제공

    정부 5개 부처가 헬기 안전에 관한 협약(MOU)를 체결해 헬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나선다.

    정부는 9일 "최근 크고 작은 헬기사고로 인명 손실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해 국민의 우려를 낳은 바 있다"며 "국민안전처, 국방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및 산림청이 민·관·군 항공안전심포지엄에서 헬기 안전에 관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민·관·군 항공안전심포지엄'은 공군이 2004년부터 자체적으로 해오던 '공군 항공안전심포지엄'이 확대 개편된 것으로 2016년 처음으로 개최됐다.

    이번 민·관·군 합동 심포지엄은 잦은 '헬기 사고'로 인해 헬기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자 대책을 내놓기 위한 행동으로 풀이된다.

    2015년 3월 13일 가거도에 응급 환자를 이송하러 간 '해양경찰 헬기'가 추락, 해양경찰관 3명이 순직하고 1명이 실종되는 사고가 있었다.

    당시 사고 지역에는 헬기 야간 운행을 돕는 유도등이 설치 되지 않는 등 환경이 열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헬기에는 블랙박스가 설치 돼 있지 않아 사고 경위를 조사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2014년 7월 17일에는 세월호 침몰 사고 현장 지원을 마치고 돌아오던 강원도 소방헬기 한 대가 광주광역시 도심에 추락, 헬기에 타고 있던 소방공무원 5명이 전원 순직하는 일도 있었다.

    사고 원인은 조종사의 판단 착오로, 야간이나 악천후에 조종을 할 수 있는 '계기비행' 자격증이 없었던 게 문제였다고 한다.  

  • ▲ 소백산에 발생한 산불 진화를 위해 남한강 물을 퍼올리고 있는 산림청 헬기. ⓒ뉴데일리 DB
    ▲ 소백산에 발생한 산불 진화를 위해 남한강 물을 퍼올리고 있는 산림청 헬기. ⓒ뉴데일리 DB


    이처럼 헬기 운항 안전 전반에서 문제점이 속속 드러나자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정부 5개 부처는 지난 4월부터 '헬기 안전관리 종합대책 TF'를 구성해 현장실사 및 실태분석을 한 결과 헬기 안전 저해 요소로 ▲인력부족 ▲안전관리 투자 미흡 ▲24시간 임무 투입에 따른 훈련 여건 미비 등이 문제로 꼽혔다.

    공군 항공안전단 부단장인 이장룡 대령은 "민간업체의 경우 다수 소규모 업체가 소수 항공기로 다양한 비행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데, 안전관리 투자 미흡 및 안전 점검 인력 부족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며 "정부는 다수 지역에 헬기를 분산 배치해 안전관리 효율성이 낮고, 조종사들의 24시간 임무 투입에 따른 훈련여건 미비 등이 사고 유발의 잠재적 요인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장룡 대령은 또 "국가적으로 헬기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운영인력 확충 및 안전전담조직을 강화하고, 조종사 훈련체계 강화 등이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령의 지적은 정부의 조사 결과와도 거의 일치했다.

    정부 5개 부처는 이번 협약을 통해 ▲각 부처의 헬기 위치 정보 시스템 연동 ▲조종사 기량관리 시스템 표준화 ▲임차 헬기 발주 업체 안전성 평가 ▲매해 조종사 운항 자격 심사 ▲헬기 운영장소 불시점검 등을 골자로 한 개선안을 발표했다.

    특히 헬기를 가장 많이 운용하는 군 당국은 다른 부처에 헬기 전용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헬기 조종사 모의훈련장비를 민·관 조종사 훈련에 투입하는 등 군이 보유한 인프라도 지원하기로 했다.

    헬기 안전 MOU에는 이 같은 점을 포함, 총 48개의 개선 과제가 명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헬기 안전관리 시스템이 체계화되고 헬기 사고가 획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민간 고용 확대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