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의 주유소 모습. TV조선은 지난 13일 "중국이 대북원유수출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사진: 평화자동차]
    ▲ 북한의 주유소 모습. TV조선은 지난 13일 "중국이 대북원유수출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사진: 평화자동차]

    “중국이 대북 원유수출을 전면 중단했다고? 아무래도 기다려 봐야 할 것 같다.
    지금까지 알아본 바로는 2014년 1월까지의 통계만 파악되고,
    중국의 대북 원유수출은 계절적 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뉴데일리>와 통화한 KOTRA 베이징 사무소 측의 설명이다.

    지난 13일 <TV조선>은 중국 관세청 무역통계를 인용,
    중국의 대북 원유수출량이 ‘0’이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북한에 매달 평균 5만여 톤의 원유를 수출해 왔다.
    이는 북한이 소비하는 원유의 80%에 달한다.
    따라서 <TV조선>의 보도가 사실일 경우 북한은 80%의 원유 공급이 끊어진 것이다.

    하지만 <TV조선>의 보도에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대북 원유 공급이 끊기면 북한 경제가 마비되고
    자칫 정권 붕괴 상황까지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과연 원유 수출을 끊었겠느냐는 지적이다.

    이들은 중국의 경우 매달 말에야 이전 달 통계를 내놓기 때문에
    2014년 중국의 대북 원유수출이 ‘전무하다’고 하는 것은 섣부른 추측이라고 주장한다.
    실제 2009년 중국 해관 통계에는 4개월 치 대북 원유 수출량이 누락된 적도 있다고 한다.

    KOTRA 베이징사무소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로 원유가 끊겼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2012년과 2011년에도 중국 무역통계에 대북 원유수출이 ‘0’으로 나타나는 등
    유사한 경우가 여러 번 있었다.”


    한편 <TV조선>의 보도를 보고선
    김정은 정권이 친중 성향의 <장성택>을 처형하자
    중국 공산당이 이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대북 원유수출을 중단한 게 아니냐는
    주장을 펴는 전문가들도 있다. 

    <존 박> 하버드大 케네디 스쿨 선임 연구원은
    지난 3월 12일자 <포린 폴리시>에서 이렇게 설명했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행위로 중국과 북한의 관계가 긴장됐다…북한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로부터의 원유 공급을 필요로 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이 ‘보복’ 차원에서 원유 수출을 중단하자 다급해진 김정은 정권이
    원유 공급을 받기 위해 리비아 반군을 찾았고,
    이것이 ‘리비아 북한 유조선 사건’의 전말이라는 것이었다.

    일부 전문가들은 2013년 북한 정권이 이란과 접촉해
    광물자원과 원유를 교환하는 조건으로 거래를 하려하자
    중국 정부가 북한 선박을 칭다오와 다롄항에 억류한 사례를 들며,
    북한 정권이 원유 수입처 다변화를 시도하다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원유공급을 차단당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여러 가지 주장보다는
    KOTRA의 지적처럼 일단 중국의 통계가 제대로 나오기를 기다리는 게
    가장 합리적인 판단이라는 게 중평(衆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