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의 묵시록이자, 지옥이 끝나는 경계선, 그리고 지옥 탈출의 출발점이 있다!"
  • 아, 혜산진 압록강 48m 강폭


     

  • 강폭(江幅) 48 미터.
    좁다.
    그러나 이 개천 같은 물길은
    지옥의 묵시록이자 지옥이 끝나는 경계선,
    그리고 지옥 탈출의 출발점이다.

    압록강 변 혜산진.
    거기 지옥의 주민들이 숨어든다.
    무리 꽃제비,
    쌍(雙)제비,
    어린 제비,
    노(老)제비.
    강을 건너 만주로 넘어가려는 필사의 행렬이다.

    오래 전 강을 건너던 일가족이 총에 맞아 쓰러졌다.
    살아남은 아들은 혼자 빙판을 건넜고
    어린 여동생은 주민에게 구출돼 그 집에서 자랐다.
    그 여인이 돈을 받고 도강(渡江)을 안내하는 야박한 [꾼]이 되었다.
    그녀는 몰랐다.
    그녀의 오빠가 자신을 구출하려고 다시 입국했다는 것을.
    오빠 역시 그녀를 몰라본 채 다시 도강 팀에 합류했다.
    그녀는 도강을 시켜준 다음에야
    오빠가 빙판에 떨어뜨리고 간 가족사진을 발견한다.
    그러나 그 순간 그녀는 총탄에 쓰러진다.

    장마당에서
    “동생을 200원에 팝니다”라는 팻말을 목에 걸고 서있는 소년 꽃제비.
    그것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슬픈 군인,
    그는 얼마 전 중국에 왔다 갔다 하는 처녀를 발견하고서도 눈감아 주었다.
    그는 어린 소녀가 강아지를 따라 48 미터를 반쯤 건너자마자
    동료 군인의 총탄에 맞아죽는 것도 목격했다.

    그리고 얼마 후
    그는 자신이 도강을 묵인해 주었던 처녀가 빙판에 시신으로 누어있는 것을 발견한다.
    그녀를 돌무덤으로 덮어주면서 그는 결심한다.
    넘어가자, 저 48미터를.

    어찌 나치의 아우슈비츠만 이야기 하는가?
    어찌 나치 점령 하의 폴란드 유태인들의 고난만 이야기하는가?
    그런 지옥은
    한반도, 바로 우리 머리 위에 있다. 


  • 이 사실과 진실이 어제(7/9)영상 위에서,
    여의도 IFC 빌딩 지하 CGV 상영관에서 시사회를 가졌다.
    그것을 보는 마음은 자괴(自愧)할 수밖에 없었다.
    이곳과 저곳이
    너무나, 너무나 잔인하게 다르지 않은가?
    왜 우리는
    저 죽음, 저 슬픔, 저 아픔, 저 핍박, 저 고문(拷問)에 대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가?
    아니, 하지 않는가?

    우리는
    게오르규의 <25시>를 말하고
    조지 오웰의 <1984년>을 읽는다.
    도스토에프스키의 시베리아 유형(流刑)을 알고 있고
    게슈타포의 학살을 알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소설도 아닌 혜산진 압록강 변의 생생한 인간 참상에 대해
    알고 있는가?

    우리에겐 인간 보편의 양심이 있다.
    그 양심의 눈을 뜨고 저 강폭 48 미터의 빙판을 바라보자.
    거기엔
    삶과 죽음을 비롯한 인간실존의 모든 비극적 국면들이
    벌거벗은 채 나둥그러져 있다.

    그걸 보지 않은 채
    먼 아우슈비츠만 말한다는 것은 위선이다.
    그걸 보지 않은 채
    “한반도 문제 어쩌고...” 하는 것은
    더욱 죄스럽기까지 한 헛발질이다.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거창한 철학을 이야기하지 말자.

    인간은 정말 무엇으로 사는가?

    굶주리고,
    강 건너다 총에 맞아죽고,
    붙잡혀 고문당하고,
    곁에 있는 식구가 어느 결에 시체로 굳어진 것을 발견하는,
    그런 일만 없어도 인간은 얼마든지 산다.

    그 이상은 벌써 사치스럽다.
    <48M>는 이걸 말해준다.

    <48M>는 픽션이 아니다.
    픽션으로 조립된 생생한 현실이다.

    이걸 우리는 모르고 산다.
    우리에게 그걸 [모를 권리]가 있을까?

    우리에겐 그걸 [알 의무]가 있다.
    우리가 한 조각 심장을 가지고 사는 한.

    류근일 /뉴데일리 고문, 전 조선일보 주필
    류근일의 탐미주의 클럽(cafe.daum.net/aestheticismcl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