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중수부 폐지 놓고 대립각
  • 국회 사법개혁특위가 대검 중수부 폐지에 합의하자 검찰이 “공공연한 수사방해”라며 강력히 반발하는 등 정치권과 검찰의 갈등이 정면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한나라당 K 의원과 직접 해명에 나선 민주당 임종석 전 의원이 신삼길(구속기소)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수사선상에 오르는 등 검찰발(發) 저축은행 후폭풍이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대립 구도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특히 여야 정치인들의 추가 연루설이 나도는 등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정치권은 숨을 죽인 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4일 여야는 저축은행 로비 의혹에 대한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한목소리로 촉구하면서도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몰라 파장을 예의주시했다.

    한나라당은 검찰의 성역없는 수사를 요구하면서도 “무차별적 폭로전 양상으로 흘러선 안된다”며 신중한 접근을 촉구했다.

    배은희 대변인은 “저축은행 비리 관련인사는 여야를 막론하고 엄벌해야 한다. 다만 혐의사실이 검찰수사 등을 통해 확실하게 나올 때까지는 정치공세 차원에서 여론몰이로 몰고 가는 것은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력 실세들의 연루 의혹을 연일 폭로하며 이번 사건을 ‘권력형 측근 게이트’로 몰아가던 민주당은 임 전 의원의 연루설이 터지자 당혹스러운 표정이다.

    당 안팎에서는 “검찰이 사건의 본질을 흐리기 위해 야권 인사를 표적 삼은 게 아니냐”는 반발의 목소리도 나왔다.

    이용섭 대변인은 논평에서 “권력 실세들의 개입 의혹을 물타기 하고 초점을 흐리기 위해 야권 인사들의 이름만 흘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대검 중수부 폐지를 둘러싼 정치권과 검찰의 갈등도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검찰은 오는 6일 검찰총장 주재로 긴급 간부회의를 소집하기로 하는 등 조직적 대응에서 나서고 있다. 검찰 일각에선 수사 차질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검찰의 반발에 대해 사개특위 검찰소위 위원장인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중수부 폐지는 이미 두 달전에 합의된 사항인데 이런 식이면 저축은행 수사를 못한다는 식으로 나오는 것은 검찰 스스로 원칙을 따르지 않는 ‘고무줄 수사’를 해왔다는 반증”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의 한 의원도 “여야 합의대로 6월 국회에서 중수부 폐지안을 처리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다만 한나라당의 한 사개특위 위원은 “중수부가 수사 중인 저축은행 사건에 정치인 연루설도 도는 상황에서 중수부 폐지를 주장하면 국민의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