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벌 논란이어 강제 야자 갈등까지학생들 이제는 집단 서명운동, 교사들 한숨만
  • ▲ 서울시교육청앞에서 열린 학생인권조례 반대 운동의 모습. 일선 교사들은 학생인권조례 이후 교권은 땅에 떨어졌으며 학교가 학생과의 싸움의 현장으로 변하고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 연합뉴스
    ▲ 서울시교육청앞에서 열린 학생인권조례 반대 운동의 모습. 일선 교사들은 학생인권조례 이후 교권은 땅에 떨어졌으며 학교가 학생과의 싸움의 현장으로 변하고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 연합뉴스

    체벌문제로 시끄럽던 수도권 학교 현장이 이번에는 강제성을 띈 자율학습을 두고 진통을 겪고 있다. 일선 교사들은 배움의 전당인 학교가 학생과의 ‘투쟁’의 현장으로 변하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진보성향의 곽노현 교육감이 이끄는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1학기부터 반강제적인 야간자율학습 등 방과후수업을 전면 금지시켰다. 시교육청은 방과후학교를 선행학습으로 구성하거나 강제로 참여시키는 행위를 단속키로 하고 3단계에 걸친 강력한 제재조치를 단행하고 있다.

    김상곤 교육감의 경기교육청과 인천시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하지만 시행초기다보니 일선 학교에서는 여전히 이를 지키지 않는 곳이 많다. 경기도 수원 A고등학교의 경우 강제적 야간자율학습 참여는 하지 않는다는 방침은 정했지만, 만약 특별한 사유 없이 자율학습에 불참하는 학생에게는 학생기록부상 감점을 주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사실상 학생 입장에서는 강제나 마찬가지지만, 학교 측은 “대입을 코앞에 앞둔 학생들이 자율학습 참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며 당위성을 주장했다.

    인천 지역은 아예 학생들이 집단행동에 나섰다. 인천 B중학교 학생들은 최근 강제 방과후수업에 대한 반대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이 학교 3학년 학생 160명가량이 주축이 된 이 반발은 시교육청에 진정서까지 제출하면서 파문이 커지고 있다.

    서명운동을 주도 중인 학생은 “학교는 당사자인 학생들과 의견을 통합해 타협점을 찾아야하는데 학생들은 교장 면담조차 못하고 있다”며 “이번 주 3학년 학생 160~200명가량이 서명에 함께 했지만 교장은 면담조차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불미스러운 상황이 이어지자 교사들은 괴리감은 극을 달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이날 성명을 통해 “지난해 교권침해 사례는 260건에 이르며 이는 10년 사이 무려 2.5배로 증가했다”며 “이는 진보성향의 교육감이 들어서면서 발표한 학생인권조례와 무관치 않다”고 주장했다.

    교총은 또 “학생지도 차원의 경미한 체벌에 대한 과도한 금품요구 등 피해가 39건으로 전년에 비해 14%가 증가했다”며 “학생체벌금지조치 이후 학교현장의 교권추락, 교실위기 현상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