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DJ정부 시절, 무기도입 절차 허술한 점 노려 짝퉁부품 납품방사청 “그건 우리가 생기기 전에 있었던 일” 무관심오리컨 대공포, 정밀도와 신뢰성 높아 70년대 중반부터 서울 대공망 담당
  • 서울 하늘을 지키는 대공포의 예비 포신 중 다수가 ‘짝퉁’이어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어 연평도 포격도발 이후 잠잠하던 ‘불량무기’ 논란이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방위사업청은 10일 <한국일보>가 보도한 ‘청와대 방어 대공포=불량포’라는 기사에 대해 해명하면서 “2000~2003년 사이 도입한 오리콘(Oerlikon) 대공포의 포신 중 49개가 내구연한, 정확도 등 군이 요구하는 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해 현재 국방부 조사본부와 경찰이 조사 중”이라고 보도 내용이 사실임을 확인했다.

    방사청은 이어 “이번에 문제가 된 오리콘 대공포 포신은 올해 6월 국산화를 마쳐 도입될 것이므로 향후에는 유사한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방위사업청은 “문제가 된 대공포 포신 도입은 방위사업청이 없었을 때 있었던 일로 우리도 모른다”며 “당시 납품된 포신은 육군에서 검수하고 관리했다”며 자신들과는 무관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방사청은 또한 ‘짝퉁’ 포신의 내구연한과 정밀도가 군 요구 성능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도 “우리는 모르는 일인데 왜 자꾸 묻느냐”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한편 오리콘 대공포를 운영하는 육군의 한 관계자는 “사실 무기나 부품을 도입했을 때 제대로 된 제품이 왔는지를 소요제기한 군에서 하라고 하는데 육군에 그런 기술자가 어디 있느냐”며 “육군 뿐만 아니라 다른 군도 그렇다. 장비 도입한 뒤에 문제가 생기면 항상 욕을 먹는 건 불량무기로 애를 먹는 해당 군”이라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도 이와 관련, “방사청의 말처럼 이번 일은 방사청이 설립되기 전의 일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책임이 없을지 모르겠다. 따라서 부품 도입결정 당시 육군본부 관계자를 조사해야 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방사청도 현재 운영 중인 ‘옴부즈만 제도’ 등을 제대로 시행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할 것”이라며 현재의 무기도입 과정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거두지 않았다.

    국방부 조사본부 등에 따르면 ‘짝퉁’ 부품 수입 사건은 2000~2003년 당시 미국 무기중개업체가 국내 무자격 업체에 못 쓰게 된 대공포 포신을 보내 ‘그대로 만들어 달라’고 주문한 뒤 이를 홍콩으로 보냈다가 다시 역수입하는 형식으로 군을 속여 납품했다고 한다. ‘짝퉁’ 부품을 받은 육군 측에서는 이를 검증할 기술이 없어 그대로 보관만 해 왔다고 한다.

    35mm 구경의 오리콘 대공포는 1975년부터 36문이 도입됐다. 도입 초기에는 뛰어난 성능과 정밀도, 신뢰성 때문에 청와대 방어에 사용되기도 했다. 지금도 제○방공여단에 배치돼 서울 도심과 수도권 방어에 사용되고 있다. 오리콘 대공포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포 1문 당 2개의 포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