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지난 11월 30일 화폐개혁을 전격 단행한 이유는 “그동안 시중에 집중되었던 돈을 국가에 집중시키고 남발된 화폐를 무효화시키는 효과도 노리는 것”으로 분석된다.
    자유아시아방송은 “30일 북한이 화폐개혁을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이 국경지역의 여러 통로를 통해 확인됐다”며 “신의주와 인접한 단동지역의 한 교민은 ‘방금 신의주에 있는 친척한테서 화폐를 교환해주기 시작했다는 전화를 받았다. 상점과 장마당은 모두 문을 닫고 사람들은 화폐개혁을 한다는 충격적인 소식에 갈팡질팡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다른 소식통들도 “이번 화폐교환은 12월 6일까지 바꾸어준다는 소식을 현지 북한 주민들로부터 들었다”면서 “화폐 교환 량이 제한되어 주민들 속에서 혼란이 일고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어떤 주민은 화폐개혁 소식을 듣고 가지고 있던 낡은 북한 돈으로 물건을 사기 위해 장마당과 상점으로 달려갔지만 문이 닫혀 있었고, 많은 주민들은 골목시장에 모여 물건을 닥치는 대로 구입해 물건 값이 한 시간 사이에 수배, 많게는 수십 배씩 치솟았다”고 말했다.
    신의주와 연락하고 있는 단동의 교민은 “오늘 오전까지만 해도 신의주 장마당에서 장사가 아주 잘 되었다”면서 돈을 가지고 나온 사람들이 물건을 마구 사는 것을 봐서는 그들이 이미 화폐개혁을 한다는 것을 알고 있던 사람들이었다고 말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은 전했다.

    방송은 “이번 화폐개혁에서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들은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지만, 정보를 몰랐던 주민들의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인다”라며 “북한은 92년 화폐개혁 당시 한 가족 당 북한 돈 480원씩 바꾸어주고 나머지 돈은 모두 은행에 넣도록 조치해 일반 주민들의 피해는 컸다”고 보도했다. 당시 정보를 알고 있던 노동당과 보안서 관계자들, 은행 관계자들은 피해가 없었을 뿐 아니라 은행기관과 짜고 다른 사람의 돈까지 바꾸어주고 돈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동용승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북한이 그동안 사적시장 부분하고 공식경제 부분하고 상당히 혼재되어 있다 보니까, 화폐가 돌아가는 주요 영역이 사적경제 부분에서 많이 돌았다”며 “북한의 돈이 전부 장마당에서 돌기 때문에 이 돈을 국가에 끌어들이고, 물가 상승을 막아보자고 화폐의 개혁을 단행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