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직전 대형 커뮤니티 '엠팍'에 글 업로드… 경찰, 검찰에 용의자 송치국민의힘, 당시에도 기사 댓글 조작 의혹… 당시 엠팍도 '조작 있었다' 공식 발표경찰, 사실로 확인 "용의자 기소 의견" 검찰 송치… 검경, 자세한 내용은 비공개
  • ▲ 지난 3월 8일 이영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디지털미디어단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크라켄, 댓글 공감 이상 징후 포착'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국민의힘
    ▲ 지난 3월 8일 이영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디지털미디어단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크라켄, 댓글 공감 이상 징후 포착'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국민의힘
    대장동 특혜 개발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 대선 당시, 국민의힘이 의혹을 제기했던 '신(新)드루킹'의 존재가 사실로 드러났다. 

    당시 의혹의 핵심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연루됐던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과 마찬가지로, 윤석열 당시 대선 후보에게 불리한 기사에 대한 반응이 인위적으로 조작됐다는 것이었다. 국민의힘은 댓글 조작 대응을 위한 프로그램인 '크라켄'을 통해 분석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 주장이 경찰에 의해 사실로 공식 확인된 사실이 24일 알려졌다.

    월 2000만명 이용 커뮤니티 게시물 추천 수 조작

    대선을 앞둔 지난 3월 7일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대장동 특혜 개발에 연루됐다는 게시물을 월 2000만명이 이용하는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 'MLB파크(엠팍)'에 업로드하고 추천 수를 조작해 상단에 노출시켰다. 조선일보는 사건 용의자가 검찰에 넘겨졌다고 24일 보도했다.

    사건 발생 전날인 3월 6일 뉴스타파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대장동 특혜 개발에 연루돼 있다'는 주장을 담은 영상물을 제작·유포했다. 

    해당 영상물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대출 사건 당시 대검 중수부장이던 윤 후보가 브로커 조모 씨 수사를 무마했는데, 김만배 씨가 박영수 전 특별검사에게 조씨를 소개했고, 박 전 특검이 윤 후보를 통해 해당 사건을 무마했다는 내용이다.

    몇 시간이 지난 뒤 국내 주요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에 이 영상물을 요약한 게시물이 올라왔고, 순식간에 폭발적인 '추천'을 받아 눈에 띄는 자리를 차지했다. 경찰은 이 과정에 부정한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했다.

    엠팍의 경우 새벽 2시53분 해당 글이 올라왔는데, 이 글에 만 10시간도 지나지 않은 그날 낮 12시40분 기준 2330개의 추천이 붙었다. 

    글은 단숨에 메인화면의 '추천순서로 보기' 상단을 차지했다. 엠팍에서 '추천 2330개'는 평소 최다 추천의 10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이전 5일(3월2~6일) 일일 최다추천 개수는 각각 438-225-304-266-413개였다.

    당시 엠팍도 조작 확인… "특정 게시물을 자동 추천할 수 있는 URL 삽입돼"

    당시 국민의힘은 해당 보도와 댓글의 '좋아요' 수나 댓글이 조작됐을 가능성을 제기했었다.

    원희룡 당시 선거본부 정책본부장은 "관련 기사 댓글 또한 드루킹식 조작이 의심된다"며 "월요일 새벽에 150만명이 벌떡 일어나서 조회수를 올려? 혹시 중국에서?"라는 질문을 던졌다.

    조작 의혹이 일자 엠팍 운영진은 공지 글에서 "오늘 새벽 벌어진 특정 게시물 추천 수 조작 관련 내용을 전달해 드린다"며 "확인 결과, 지금은 삭제된 게시물의 이미지 태그에 특정 게시물을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는 URL이 삽입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다 추천 게시물을 자동으로 추천하게 만든 URL이 삽입된 게시물을 업로드한 사용자를 업무방해로 경찰청 사이버 수사대에 고발할 것"이라며 "수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공지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른 커뮤니티도 마찬가지였다. 문제의 보도는 3월 6일 오후 각종 사이트에 게시물로 올라갔고, 대부분에서 추천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좋아요' 수가 조회수보다 많은 게시물이 발견되는가 하면 자정쯤 2만개 넘는 댓글과 추천수가 몰렸다.

    네티즌들 사이에선 '드루킹과 같이 특정 세력의 지시를 받은 신드루킹이 조직적으로 여론 조작을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용의자가 몇 명인지, 조직적이었는지,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는지에 대해선 밝힐 수 없다"고 했다. 서울 동부지검 관계자 역시 "확인해 줄 수 없다"고만 했다고 조선일보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