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규칙 합의·타 경선 주자 출마 등도 줄줄이 연기 '도미노 현상'
  • ▲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한 이른바 빅3(정세균·박지원·문재인)와 문희상 위원장.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한 이른바 빅3(정세균·박지원·문재인)와 문희상 위원장.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이른바 '정윤회 파문'이 차기 지도부를 선출할 새정치민주연합의 2·8 전당대회를 강타했다.

    '빅3(정세균·박지원·문재인)'가 비대위원 사퇴 연기를 결정하면서 전당대회 룰 결정도 미뤄지고, 이에 따라 다른 경선 주자들의 움직임도 함께 늦춰지는 '도미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당초 빅3가 8일 비상대책위원회의를 마지막으로 비대위원에서 동반 사퇴하면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서 전대 규칙안을 결정해 비대위에 상정한다는 구상이었다.

    '출전할 선수가 규칙까지 정한다'는 논란을 피해가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정윤회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돼 정국의 핵심 현안으로 부상하고, 당에서도 '비선실세 국정농단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총력을 기울이게 되자 상황이 달라졌다.

    여야는 12월 임시국회 소집에 합의하면서 15~16일 긴급현안질문을 진행하기로 하자, 대여(對與) 공세를 앞두고 비대위원 동반 사퇴로 전열이 흐트러지면 안 된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특히 정윤회 파문이 확산되면서 전당대회의 주목도와 '흥행'에 적잖은 타격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도 뒤따르고 있다.

     

    박지원 위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빅3가 10일 사퇴한다는 이야기는) 잘못 보도된 것"이라며 "15~16일에 현안 질의가 있기 때문에 그 후에, 그 주 주말 정도가 (사퇴 시기가) 되지 않을까 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차기 전대에 출마할 비대위원은 12월 중순까지는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던 문희상 비대위원장도 이날 비대위 회의를 마치고 나와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그 말은) 선거운동을 하기 전에 그만 둔다는 것"이라며 "22일까지는 그만둬야 하고, 그 즈음 어느 날짜를 잡으면 동반으로 그만둘 것"이라고 새로운 시한을 설정했다.

  • ▲ 빅3 중 한 명으로 8일 KBS라디오에 출연해 비대위원 사퇴 시기가 늦춰질 것 같다는 사실을 전한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이 이날 박영선 전 원내대표가 주최한 '오픈 프라이머리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빅3 중 한 명으로 8일 KBS라디오에 출연해 비대위원 사퇴 시기가 늦춰질 것 같다는 사실을 전한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이 이날 박영선 전 원내대표가 주최한 '오픈 프라이머리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서도 △선거인단 구성 비율 △컷오프 정원 △권역별 최고위원제 도입 여부 등 새로운 쟁점이 부상하면서, 전대 규칙 합의 자체가 함께 미뤄지게 됐다.

    '정윤회 파문'에 정치권의 시선이 집중된데다 빅3의 사퇴도 연기된 마당에 굳이 '끝장토론'을 통해 서둘러 규칙을 결정할 필요는 없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이렇게 되자 빅3 외의 전당대회 출마자들의 움직임도 함께 멈춰졌다.

    특히 전당대회 준비위원회에서 컷오프 정원을 결정하지 못한 마당에 먼저 나서기가 부담스러운 형국이다.

    만일 당대표 경선의 컷오프가 3명으로 결정되면 현실적으로 빅3 외에는 컷오프를 뚫기가 어렵기 때문에, 최고위원 경선으로 방향을 전환하거나 출마의 뜻 자체를 접어야 한다.

    이런 측면 때문에 이미 사실상 출마 의사를 피력한 조경태 전 최고위원과 김영환·김동철·박주선 의원의 발걸음이 느려지고 있음은 물론 아직 출마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김부겸 전 의원, 박영선 전 원내대표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