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김한길 "나이 자체가 '벼슬'이나 '주홍글씨' 돼선 안 돼"

국민통합위 '청년 1인가구 대응 특위' 출범"청년세대 자립 위해 정책적 관심·배려 필요"

입력 2023-10-31 14:09 수정 2023-10-31 14:09

▲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뉴데일리

"나이가 '벼슬'이나 '주홍글씨'가 돼서는 안 되고, 될 수도 없습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청년 1인가구 대응 특별위원회(특위)' 출범식에서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도 있지만, 사실 고생은 젊어서나 늙어서나 안 할수록 좋은 게 사실"이라며 "청년들이 좀 더 건강하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살아가면서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관심과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제가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위' 출범식에서 '젊음이라는 게 벼슬도 아니고, 노인이라는 게 주홍글씨가 돼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을 두고, 일부 청년들이 '벼슬'이라는 표현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밝힌 김 위원장은 "거꾸로 젊음이라는 게 주홍글씨도 아니고, 노인이 벼슬도 아니라고 말해도 똑같은 내용"이라며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나이 자체가 벼슬이나 주홍글씨가 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나라 인구수는 2020년을 기점으로 줄어들고 있는 반면에, 전체 가구수는 계속 늘고 있다"며 "이는 1인가구수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는 결과"라고 진단했다.

특히 "700만을 훨씬 넘어선 1인가구 가운데 청년 1인가구가 약 30%를 차지한다"며 "이러한 청년 1인가구가 앞으로 계속 늘어날 전망"이라고 예단한 김 위원장은 "청년 1인가구는 부모의 품을 떠나 당당한 성인으로서 홀로서기를 선택했다는 점에서 칭찬과 격려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동시에 경제적 어려움이나, 범죄의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 등 청년 1인가구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이에 우리 국민통합위원회에서는 '청년 1인가구 대응 특위'를 출범시켜 청년세대를 위한 현실적이고 내실 있는 정책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범 전 수차례 전문가 회의와 준비TF 회의 등을 통해 △안전한 생활환경 △ 안정적 경제기반 △ 사회적 관계 강화 △촘촘한 사회안전망이라는 4가지 핵심 방향을 설정한 '청년 1인가구 대응 특위'는 31일부터 첫 활동을 개시, 내년 1월경 실효적인 정책 제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특위는 먼저, 안전하고 건강한 주거 생활환경 조성과 청년 1인가구 서비스 통합플랫폼 구축 등 생활의 체감도와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를 발굴할 예정이다.

또한 청년 1인가구를 위해 유형별 맞춤형 일자리를 지원하고, 창업에 실패하거나 경력이 단절된 청년들에게 '두 번째 도약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경제적 안정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어 고립·단절 청년을 발굴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다인가구 중심의 법·제도를 개선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청년 1인가구에 건강·의료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김석호 특위위원장(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은 "청년 1인가구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가구 형태로, 이들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힘들게 사는 청년들을 위한 정책과 서비스를 파악해 공공과 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특위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전·충청·세종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