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개혁 반신반의하는 농민들 마음 돌려"… '항일 전사 정율성 평전'서 확인 "6·25 때 중국 인민해방군과 서울 들어와… 조선 궁정악보 중국으로 챙겨가"호남 시민단체 "정율성路, 자유민주주의 부정 상징… 정율성은 대한민국의 적"대안포럼 박은식 "침략자를 관광 호객용으로 쓰나… 국가 정체성 부정하는 것"
  • ▲ 전남 화순군 능주초등학교 내 설치된 정율성 흉상 ⓒ정상윤 기자
    ▲ 전남 화순군 능주초등학교 내 설치된 정율성 흉상 ⓒ정상윤 기자
    중국·북한 공산당의 영웅 정율성(1914~76)이 해방 직후 김일성이 주민들을 상대로 시행한 '토지 몰수' 사업에 앞장선 것으로 28일 확인됐다.

    본지가 확인한 '항일전사 정율성 평전(이종한 著, 도서출판 지식산업사 刊)'에 따르면, 정율성은 조선공산당 황해도당위원회 선전부장으로 취임한 직후인 1946년 2월 지방 사찰을 나온 김일성을 처음 만났다. 

    이후 정율성은 토지개혁 선전활동을 수행했다. 당시 북한은 농사짓는 농민들의 손에 논과 밭을 돌려준다는 토지개혁사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대부분의 농민은 땅이 거저 생긴다는 소리에 좋아했지만, 일부 농민은 목숨이나 마찬가지인 땅을 무료로 나눠준다는 공산당의 선전을 반신반의하고 있었다.

    이때 정율성이 담당했던 과업(課業)은 반신반의하는 농민들의 마음을 돌려세우는 것이었다.

    당시 북한이 시행한 토지개혁은 '무상몰수 무상분배'였다. '그냥 준다'는 점을 보고 이를 미화하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땅을 받은 농민에게는 소유권이 없었다. 주인은 공산당이고, 농민은 경작권만 갖는다. 또 무상이라고 했지만 생산 작물의 25% 정도를 경작료로 내놔야 했다. 일종의 현물세(실질적 경작료는 50%에 육박했다는 지적도 있다)다. 공산당이 주인인 땅에 농민이 경작료를 내고 소작하는 셈이다. 그럼에도 이전의 소작보다는 낫다고 본 북한 농민들은 환영했다고 한다. 이는 해방 직후 대한민국이 시행한 '유상몰수 유상분배'와 크게 달랐다.

    정율성이 공산주의식 토지개혁을 의심하는 북한 주민들의 눈과 귀를 막고 판단력을 흐리게 하는 데 앞장선 것이다.
  • ▲ 선전부장 당시 황해도 선거선전도대 대원들과 함께한 정율성(앞줄 가운데 원안, 1946). ⓒ '항일전사 정율성 평전' 발췌
    ▲ 선전부장 당시 황해도 선거선전도대 대원들과 함께한 정율성(앞줄 가운데 원안, 1946). ⓒ '항일전사 정율성 평전' 발췌
    다큐 작가 이종한이 쓴 평전에는 정율성과 북한 김일성의 관계도 담겼다. 김일성은 연극을 좋아했으며, 특히 공연예술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김일성은 전통민요 가운데 '노들강변'을 비롯한 몇몇 민요를 부르지 못하게 했다.

    여기에 불만을 가진 정율성은 김일성을 만난 자리에서 노들강변이 금지곡이 될 수 없는 이유를 거의 1시간 동안이나 설명한 끝에 설득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아울러 평전에는 정율성이 1·4후퇴 때 중공군과 함께 서울로 내려온 후 '조선궁정악보'를 챙겨 중국으로 가져갔다고 소개돼 있다.

    정율성은 중국 인민해방군을 지원하는 임무를 띠고 6·25전쟁에 참전해 1951년 1월 서울에서 조선궁정악보를 챙겨 중국으로 가져갔다.

    저자는 평전에서 "비록 총을 들고 싸우는 군인은 아니었지만 중국 인민해방군을 따라 서울까지 내려온 그는 포화가 빗발치는 최전선을 피하지 않는다. 책상에서 음악을 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음악을 작곡하는 것이 정율성의 체질이었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중국 공산당을 찬양하는 노래를 작곡한 정율성은 6·25전쟁 개전 초 아내 딩쉐쑹(정설송)과 함께 공산당 치하의 서울로 내려왔다. 이후 정율성은 인천상륙작전 후 서울이 해방되자 중국으로 피신했다가 1·4후퇴 때 서울이 중공군에 점령되자 다시 돌아와 대한민국의 유물 궁정악보를 중국으로 반출했다.

    하지만 평전에 따르면, 중국으로 돌아간 정율성의 앞에는 짙은 먹구름이 깔려 있었다. 평전은 "연안의 정풍운동 당시 정율성에게 거친 비판을 받았던 주양이 문화부문의 책임자가 돼 있다는 사실은 그의 앞날을 더욱 어둡게 했다"고 소개했다.
  • ▲ 정율성이 이끈 조선인민군협주단과 김일성·박헌영 등 당시(1948) 북한 지도부가 함께 기념 촬영을 함(평양). ⓒ'항일전사 정율성 평전' 발췌
    ▲ 정율성이 이끈 조선인민군협주단과 김일성·박헌영 등 당시(1948) 북한 지도부가 함께 기념 촬영을 함(평양). ⓒ'항일전사 정율성 평전' 발췌
    광주시는 혈세 48억원을 들여 정율성을 기리는 공원을 조성하고 있다. 또한 국민의 세금으로 '정율성 음악축제'에 2억8400만원을 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재인정부는 정율성을 국가유공자로 추서하려는 시도도 했다.

    국가보훈부 관계자는 "문 정부 때 정율성을 국가유공자로 추서하려고 했으나 그의 친북 행적이 너무 뚜렷해 내부에서 반발 목소리가 나왔고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고 설명했다.

    호남대안포럼과 전국학생수호연합 광주지부는 8월27일 '정율성기념공원 조성 철회하고, 양림동 정율성로를 개칭하라'는 현수막을 걸고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정율성로(路)는 우리나라의 자유민주주의와 건국을 부정하는 상징 그 자체"라며 "강기정 시장은 광주·호남 학생들에게 정율성로에 대해 납득할 수 있는 분명한 입장을 투명하게 밝힐 것"을 요구했다.

    이어 이들은 강 시장이 지난 23일 페이스북에 게시한 '정율성에 대한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논의하자'고 한 것을 비판했다.

    호남 시민단체들은 "정율성의 공(功)은 중국 공산당과 김일성의 치적이고, 그의 과(過)는 대한민국에 행한 학살과 부역 등의 전범 가담"이라며 "정율성이 대한민국에 남긴 공 따위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들은 "정율성은 대한민국의 적으로 나타난 독재와 학살의 부역자일 뿐"이라며 "우리 민족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긴 이력은 명백한 과(過)"라고 단언했다.

    호남대안포럼 박은식 공동대표는 "서재필 박사 등 호남 출신 독립유공자가 무려 전체 유공자의 15%를 차지한다"며 "그런데도 굳이 침략자를 기념하는 것은 호국영령을 조롱하는 것이자 국가 정체성에 대한 전면적 부정"이라고 비판했다.

    박 대표는 "강 시장은 '정율성이 광주의 역사문화 자원'이라고 했다"며 "어떻게 침략자를 중국인 관광 호객용으로 쓰겠다는 것이냐"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