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검찰, '박영수 대장동 로비 의혹' 前 우리은행 부행장 소환

김종원 "여신의향서 끊어줄 지위 아냐"… 실무진 "부행장이 책임진다고 했다"우리은행, 컨소시엄 참여 무산된 지 일주일도 안 돼 여신의향서 발급박영수, 다음주 소환 유력… 수사팀, 구체적 일정 조율 중

입력 2023-05-31 13:47 수정 2023-05-31 14:51

▲ 2017년 3월 박영수 특검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사무실에서 국정농단 사건 수사 결과 발표를 하고 있다. ⓒ정상윤 기자

박영수 전 특별검사의 '대장동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종원 전 우리은행 부행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김 전 부행장을 소환해 우리은행이 성남의뜰 컨소시엄에 1500억원 상당의 여신의향서를 발급해준 경위 등을 확인하고 있다.

김 전 부행장은 이날 검찰에 출석하면서 "박 전 특검은 제가 아는 분도 아니고, 선거사무소 개소식에도 간 적이 없다"며 "저는 여신의향서를 끊어줄 직위에 있지도 않았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그러나 우리은행 실무진 A씨로부터 "김종원 전 부행장이 책임질 테니 1500억원을 대출해 주겠다는 여신의향서를 발급하라고 지시했다"는 진술을 확보해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친분이 두터운 김 전 부행장을 통해 우리은행에 대출을 청탁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A씨는 2014~15년 당시 우리은행에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업무를 담당했으며, 김 전 부행장은 2014년 12월 우리은행 상무에서 부행장으로 승진해 부동산금융사업본부장을 맡았다.

앞서 우리은행은 대장동 개발사업에 지분투자자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하지만 내부의 반대의견으로 투자까지 진행되지는 않았다. 다만 2015년 3월 화천대유자산관리를 중심으로 한 성남의뜰 컨소시엄이 구성되자 PF 대출 참여 의사를 밝히며 1500억원의 여신의향서를 제출했다. 

검찰은 해당 결정 과정에 박 전 특검이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고 우리은행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김 前 부행장, 박영수와 친분 두터워… 선거운동 돕기도

김 전 부행장은 한국상업은행 실업축구 선수 출신으로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합병한 후 우리은행 부행장, 우리금융지주 계열사인 우리신용정보 대표 등을 지낸 이력이 있다. 

김 전 부행장은 박 전 특검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는데, 박 전 특검이 2014년 말 대한변호사협회장선거에 출마했을 당시 선거운동을 돕고 선거사무실 개소식에 참여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검찰은 친분을 토대로 박 전 특검이 우리은행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그 대가로 대장동 부지에 있는 200억원 상당의 땅과 상가건물 등을 받기로 약속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박 전 특검은 2014~15년 우리은행 사외이사회 의장으로 있으면서 대장동팀의 컨소시엄 구성을 지원하고, PF 대출 청탁 대가로 200억원의 금액을 약정 받은 혐의가 있다.

▲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정상윤 기자

檢, 다음주 '50억 클럽' 박영수 소환 유력 검토

검찰은 김 전 부행장에 이어 박 전 특검의 측근인 양재식 변호사를 소환조사하고, 다음주 핵심 피의자인 박 전 특검을 부르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팀은 조만간 박 전 특검과 소환조사 여부를 두고 일정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특검은 현재 혐의를 전면부인하고 있지만, 결과에 따라 구속영장 청구도 검토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수사팀은 우리은행 관계자들을 잇달아 소환하는 과정에서 우리은행의 대장동사업 컨소시엄 불참이 2015년 3월 중순 결정된 직후 김 전 부행장이 박 전 특검에게 '컨소시엄 참여가 무산됐으니 여신의향서라도 발급할 수 있게 도와 달라'고 요청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3월 말 우리은행 부동산금융부는 전결로 1500억원 여신의향서 제출을 결정했는데, 이는 컨소시엄 참여가 무산된 지 일주일도 안 된 시점이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총수일가 3.6% 지분으로 기업집단 지배… 해외계열사·공익법인 통한 우회지배도 여전

총수일가 3.6% 지분으로 기업집단 지배… 해외계열사·공익법인 통한 우회지배도 여전

공정위, 8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주식소유 현황 발표
계열회사 보유 내부지분율 54.7%로 기업집단 전체 지배하는 구조
총수일가 지분율 낮은 기업 두나무>HD현대>카카오順
롯데·장금상선, 국외계열사로 국내계열사 우회·편법 지배
사익편취 규제대상 72개 집단·900개 계열사로 7.8% 증가
공정위 "긍정 평가 어렵지만, 승계과정서 자금동원력에 한계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