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YTN방송노조에 민영화 '공동 대응' 제안YTN방송노조, '경영진 퇴진' 등 4개 선결 조건 요구
  • 최근 YTN의 최대주주인 한전KDN이 YTN 지분 매각 계획을 공식화 한 것을 두고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지부장 신호)에서 중도·보수 성향인 YTN방송노동조합(위원장 김현우)에 '노·사 공동 대응'을 제안하자, YTN방송노조가 "'경영진 퇴진 운동 동참' 등 4개 조건을 수용하면 이를 '원점'에서 협의할 용의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YTN방송노조는 24일 배포한 성명에서 "지난번 성명에서 밝혔듯이 우리 조합은 '민영화' 이슈를 촉발한 장본인은 '문재인 캠프 정치위원 호소인' 우장균 사장이라고 규정했다"며 "우 사장은 공정방송 기틀을 처절하게 망가뜨린 장본인"이라고 규탄했다.

    "최근 3년 만에 정‧경‧사 부장을 역임하는 '그랜드슬램 인사' 등 측근 몇몇으로 돌려막는 인사 전횡 정도는 사실 애교에 가까울 정도"라고 비판한 YTN방송노조는 "더욱 개탄스러운 건 이른바 '민영화' 이슈로 내부가 극도로 혼란한데도 이 자들은 지금까지 이에 대해 단 한마디, 단 한 글자도 입장을 내고 있지 않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YTN방송노조는 "이런 자들을 '공동 대응'의 파트너로 삼는다는 건 스스로 '구사대'임을 자인하는 꼴에 불과하지 않겠느냐"며 "언론노조 YTN지부의 상식적인 대응을 기대하겠다"고 당부했다.

    "공정방송 훼손한 이들과 '공동 대응' 논할 수 없어"


    둘째로 YTN방송노조는 '방송노조 탄압‧협박' 관련자를 공개하고 이들의 사과와 더불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할 것을 언론노조 YTN지부에 요구했다.

    YTN방송노조는 "우 사장은 지난 몇 년 동안 방송노조와 조합원들에 대한 탄압과 회유를 주도한 인물"이라며 "인사는 물론 승진이나 인사고과 산정에서 방송노조원들에게 철저히 불이익을 줬다"고 상기했다.

    그러면서 "힘없는 조합원들을 상대로 알바생까지 동원해 가며 3년이나 지난 출퇴근 기록 등을 탈탈 털어 징계를 감행했다"고 주장한 YTN방송노조는 "물론 우리 조합은 이런 부당노동 행위 등에 대해 수많은 증거와 진술을 확보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에 "'노·사 공동 대응'을 논하기에 앞서 우장균 체제에서 행해진 방송노조 탄압과 회유 등에 대한 공동 진상위원회 구성과, 관련자 처벌에 동참해 줄 것"을 언론노조 YTN지부에 제안했다.

    셋째로 YTN방송노조는 '공정보도 저해 행위' 지시 가담자의 공개 사과와 '불공정방송조사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요구했다.

    YTN방송노조는 "지난 5년 동안 YTN을 가장 잔혹하게 망가뜨린 것은 '불공정보도'와 '편파방송'"이라며 "특정 정당, 특정 정당인의 치부는 '알아서 덮어주는' 고객 만족 보도로 정파적 색채를 무한대로 드러냈고, 그 반대 쪽에는 인력 충원까지 해가며 편향적 편파‧왜곡보도를 '무한 난사'했다"고 되짚었다.

    이에 "소유구조 일부 재편을 논하기 전에, 썩어 문드러지고 곪을 대로 곪아서 악취가 진동하는 패악부터 도려내는 것이 일의 순서"라고 YTN방송노조는 강조했다.

    "방송 정상화 위해 '불공정방송조사위' 설치해야"


    YTN방송노조는 방송노조와 집행부에 대해 협박과 폭언을 가한 당사자에게 공개 사과를 할 것도 요구했다.

    YTN방송노조는 "전임 언론노조 집행부의 일부 인사는 과거 방송노조와 집행부에 대해 온갖 멸시적 언사도 모자라 폭언까지 일삼았다"며 "집행부에게 이랬을 정도면 힘없는 연봉직·일반직 사원 등에 대한 그들의 악행은 오죽했겠느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최근에는 방송노조의 정상적인 의혹 제기에 대해 공개적으로 위원장과 성명불상의 제보자까지 거론하며 위협했을 정도"라고 분개한 YTN방송노조는 "대화의 시작은 상대에 대한 '인정'과 '존중'에서 시작된다. 언론노조 YTN지부가 위 제안들을 모두 이행한다면 '소유구조 재편'에 대한 공동 대응 문제를 '원점'에서 협의할 용의가 있음을 정중히 밝힌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공동 협의를 한다면 그 주체는 언론노조 YTN지부와 YTN방송노조 양자가 돼야 한다"며 "귀 노조와 구성원이 동일하고, 단체의 지향점이 일치하며, 그간의 행적 역시 다르지 않은 단체를 포함시켜 '협의 주체'의 수만 늘리는 것에는 반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