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언론, 국민에 돌려주는 첫 단추‥ 방통위원장 OUT특정 진영에 치우친 '편파보도' 난무…사장이 책임져야
  • 김장겸 전 MBC 사장. ⓒ뉴데일리
    ▲ 김장겸 전 MBC 사장. ⓒ뉴데일리
    문재인 정권이 들어선 이후 이른바 '적폐청산' 대상으로 몰려 취임 8개월 만에 물러난 김장겸 전 MBC 사장이 "5년 전 '방송의 날(9월 2일)'에 자신을 상대로 체포영장이 발부된 것은 정권과 언론노조, 사법부가 일체가 되지 않으면 힘든 일이었다"고 회상했다.

    2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언론노조 사장님들 이제 그만들 하시라'는 제목의 글을 올린 김 전 사장은 "2017년 바로 오늘, 아무것도 모른 채 여의도 '방송의 날' 행사장에 들어섰다가 도저히 언론인이라고 믿기 어려운 폭도들을 마주쳤다"며 "막고 당기고 밀치고…, 광기 어린 폭력이었다"고 떠올렸다.

    "이날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됐다는 얘기는 행사장을 빠져나온 뒤에 들었다"고 말한 김 전 사장은 "언론노조와 문재인 정권의 치밀한 작전이 진행된 것"이라며 "앞서 폭로된 '민주당 방송장악문건'대로 착착 진행됐다는 점에서 별로 놀라울 것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방송장악문건'대로 적폐청산 작업 진행"

    김 전 사장은 "'공영방송이 무너졌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말이 신호탄이었다"며 "핵심 언론노조 인사이면서 방송사 사장 자리에 오른 양승동·김의철 KBS 전·현 사장, 최승호·박성제 MBC 전·현 사장, 성기홍 현 연합뉴스·연합뉴스TV 사장 등도 여기에 직·간접으로 관여한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현직 공영방송 사장에 대해, 그것도 '방송의 날'에 체포영장을 청구하고 발부한 것은 제3세계나 전체주의 국가가 아니면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라고 단정한 김 전 사장은 "앞서 거명한 귀하들이 그렇게 노래를 부르던 '언론자유'가 진정한 의미의 언론자유가 아니라, 정권과 코드를 같이하는 '언론노조만의 자유'라는 것이 이 일로 입증됐다"고 주장했다.

    김 전 사장은 이로부터 며칠 뒤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에서 조사를 받을 때 있었던 일화를 소개하며 노동부가 실시한 '특별근로감독'은 사실상 자신을 내치기 위한 수단이었음을 강조했다.

    "당시 조사관이 '임신한 여직원에게 왜 야근을 시켰느냐'고 다그칠 때는 정말 난감했다"며 "임신 초기라 본인들도 임신한지 몰랐을 때였다"고 주장한 김 전 사장은 "이 조사관은 '특별근로감독을 통해 출산한 여직원들을 대상으로 역산해서 임신 중에 야근을 했는지 여부를 찾아냈다'고 말했다"고 상기했다.

    김 전 사장은 "이에 부장 전결 사안을 사장이 어떻게 아느냐고 했더니, '알아야 합니다. 그게 법입니다'라는 호통이 돌아왔다"고 회상했다.

    "이 조사관은 특별근로감독을 나와서 언론노조 집회에 참석해 언론조원들과 같이 구호를 외쳤던 인물"이라고 밝힌 김 전 사장은 "이후 출근길을 막아선 언론노조 MBC본부 위원장이 어떻게 알았는지 제가 조사받은 내용을 자세히 알고 줄줄 읊어대던 일이 기억에 생생하다"고 증언했다.

    "방통위원장과 공영방송 사장, 함께 물러나야"


    김 전 사장은 "8개월여밖에 안 된 사장이라 털어도 나올 게 없었고 근로기준법을 적용하기는 코미디 같았던지, 검찰은 부사장 전결 사안 등을 문제 삼아 노조법 위반으로 기소했고 아직도 대법원에서 계류 중"이라며 "문재인 정권의 방송장악 로드맵에 따라 언론노조에 의해 쫓겨난 사장이,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로 둔갑해 재판을 받는 기막힌 현실"이라고 개탄했다.

    "김명수 사법부에 무슨 상식적인 판결을 기대하겠습니까만 5년째 들고 있는 것은 귀하들의 장난인지 궁금하다"고 의문을 제기한 김 전 사장은 "설사 유죄가 확정된다 한들, 정말 유죄라고 믿는 사람들은 언론노조 외 누가 있을까 하는 우려 때문인지도 모르겠다"고 추정했다.

    김 전 사장은 "그런데 5년이 지난 지금은 고용노동부의 태도가 그때와는 완전히 다르다고 한다"며 "문재인 정권 시절 자행됐던 언론사 내 부당노동행위와 각종 블랙리스트 의혹 고발 건에 대해 고용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은커녕, 미동도 하지 않고 있다"고 의아해했다.

    "언론노조의 입맛에 맞지 않는 보도는 방송될 수 없고, 특정 진영의 기관지보다 더한 편파보도가 자행되는 이런 상황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 김 전 사장은 "방송사를 이렇게 만든 데 대해 귀하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 공영언론을 진정 국민에게 돌려주는 첫 단추는 한상혁 방통위원장과 공영언론 경영진이 물러나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